충남도내 대학생의 지역기업 취업 비율이 21%로 전국 최하위를 기록한 가운데 지역 기업과 취업희망자 간의 눈높이 차이(고용 미스매치), 지역인재 유출 등에 대한 대안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내 청년 체감실업률은 고용통계상의 실업률(8.6%) 보다 2배 높은 18.3%로 청년층의 약 25%가 구직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비경제활동인구의 고용시장 진입 유도를 위한 적극적인 대책도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18일 충남도청에서 열린 청년 취업 촉진 유관기관 회의에 따르면 도내 청년 취업에 있어 구인 구직 미스매치 현상과 지역 인재 유출, 유관기관의 협력 미흡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특히 충남도는 수도권과의 지리적 인접해 있어 지역인재 유출이 심화되고 있다.
지역 대학생의 수도권 취업 선호가 높아짐에 따라 도내 대학생의 수도권 취업률은 64.9%에 달한다. 반면, 도내 대학생의 지역기업 취업 비율은 21%로 전국평균 47.9%를 크게 밑돌고 있다. 이는 가까운 대전(47.9%)과 충북(36%) 보다도 훨씬 낮은 수준이다. 이에 따라 지역 기업은 타지역에서 필요한 인력을 모집해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또 지역 청년 취업에 있어 구인 구직의 미스매치도 심각하다. 실제 청년층 고용률은 40%대 후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대학에서는 학생들이 취업하기 어렵다고 아우성이지만,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의 인력 부족률은 23%로 나타나 인력난을 호소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도에서 실시하고 있는 취업 지원 방안이 주로 구인 구직 알선 등 정보제공에 치중돼 있어 실질적인 청년 취업 도움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날 참석한 도내 대학 관계자는 “구인정보가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는다”며 “학생 특성에 맞는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전문가는 “기업이 필요한 인재상과 맞지 않다는 이유로 지역 인력이 외면 받고 있다”며 “기업이 요구하는 능력을 키워줄 인력양성에 대한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권희태 도 경제통상실장은 “최근 지속되고 있는 청년층 저고용 심화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인재가 지역에서 근로하고 정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산·학·연·관의 지역 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유기적인 협조가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전민희 기자 manajun@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