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사태를 풀어야 할 답안지가 학교측과 평교수, 학생 등으로 구성된 혁신비상위원회(이하 혁신위)로 넘어갔다.
17일 KAIST에 따르면 혁신위는 지난 주말 13명의 혁신위원 선정을 마치고 앞으로 논의해야 할 안건을 마련 중이다.
이에 따라 1월 조 모 군 자살 이후 잇단 학생 자살로 학내·외 대립과 갈등을 빚어왔던 KAIST 사태는 앞으로 3개월(필요시 1개월 연장) 동안 진행될 혁신위의 활동 결과에 따라 봉합 또는 재발이 판가름나게 될 전망이다.
△혁신위가 풀어야 할 문제=앞으로 혁신위가 다룰 주제는 ‘학교 운영 전반에 관한 사항’이라는 것 외에는 학교측도, 교수측도 모두 말을 아끼고 있다.
경종민 교수협회장은 “혁신위의 활동 내용은 서남표 총장의 개혁제도를 포함한 학교 운영 전반이 될 전망이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혁신위에서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단 이번 KAIST 사태로 인해 부각된 일부 학사제도에 대한 지적 사항이 중점 거론될 것이라는 게 학교 내·외의 일반적인 시각이다.
이에 관한 사항으로는 징벌적 등록금으로 표현되고 있는 수업료 문제와 재수강 제한, 연차 초과자 처우, 전면 영어강의, 학교 정책결정 과정 학생 참여문제 등이다.
학부 총학생회는 징벌적 등록금으로 표현되고 있는 수업료 문제와 재수강 제한, 연차 초과자 처우, 전면 영어강의, 학교 정책결정 과정에 학생 참여, 학사경고 1학년 학생 학업지원, 서 총장 개혁에 대한 평가 실시 등 구체적인 사안을 내놨다.
또 대학원 총학생회 역시 기성회비 납부제도의 폐지 또는 보완, 연차 초과자제도 점검, 학교와의 의사소통 문제 등을 제기한 상황이다.
△또 다른 갈등 문제 풀어야=이번 혁신위가 학생들의 다양하고도 직접적인 요구를 어떻게 다룰지가 관건이다.
그러나 이번 KAIST 사태의 진행과 수습 과정에서 나타난 학교측과 교수측, 학생들의 미묘한 불협화음이 어떻게 표현되느냐에 따라 추이가 달라질 전망이다.
서 총장은 지난 주 행보에서 교수협과 총학생회측과 소통 제스처를 취하면서도 이번 사태의 가장 핵심인 ‘개혁’과 ‘경쟁’에 대한 의지를 여전히 내비쳤다.
교수협 역시 테뉴어(교수 정년요건 강화) 제도 등 자신들과 직접 이해관계에 있는 사항과 연계되는 것을 우려하면서 구체적 사항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여기에 학생들은 지난 서 총장 정책 평가에 대한 견해가 나뉜데다 이번 혁신위 구성에서 인적 구성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에 대해 스스로 불안해 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지난 15일 열린 KAIST 이사회에서는 이번 사태에 대해 현안 보고만 받고 아무런 대책이나 결론이 나지 않은 채 끝난 상태다.
모 교수는 “이번 혁신위가 새로운 KAIST의 방향을 잡는데 좋은 역할을 해주길 내심 바라고 있다”며 “그러나 혁신위가 활동할 기간에 비해 의제가 많고, 구성원 간의 의견도 제각각이어서 우려도 적지 않다”고 밝혔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