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하는 복지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대전복지재단’ 출범 준비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서울·부산·경기에 이어 전국 16개 시·도 중 다섯번째로 출범할 대전복지재단은 복지사각지대를 해소할 새로운 복지패러다임이 될 것으로 보여 벌써부터 각계의 기대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외형적인 경제성장의 그늘 속에 빈부격차가 확대되고, 세계에서 가장 빠른 고령화 속도, 심각한 저출산 현상, 핵가족화 및 이혼율 증가에 따른 새로운 복지수요 폭증에 대응할 민·관 협치(協治)의 허브기능을 수행할 것으로 전망돼 더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로 급부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전시는 민선5기 염홍철 대전시장의 공약사업인 복지재단 출범을 위해 지난달 설립 조례안을 최종 확정한 후, 오는 5월 재단 정관 및 제(諸)규정을 확정할 방침이다. 이어 오는 9월 재단법인 설립 등기 및 세부규정을 마련하고 직원 채용 등을 거쳐 오는 10월 재단 출범과 함께 본격적인 업무에 돌입할 계획이다.

시는 또 변화하는 복지환경에 능동적·탄력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예산, 시설, 인력 등 공공자원의 양적 확대 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공조직의 경직성을 탈피해 민·관이 하나되는 복지정책을 펼쳐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민·관 협치의 촘촘한 사회안전망과 계층별 맞춤형 복지서비스의 통합 운영을 통해 복지공동체의 구심적 역할을 수행토록 한다는 복안이다.

무엇보다 사회복지비용은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복지공급 주체 간 유사기능 중복 수행으로 새로운 복지환경과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계층에 대한 대처가 미흡하다는 판단아래 효율성과 통합성에 바탕을 둔 복지서비스 체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기금 58억 원과 사회복지회관 임차금 19억 원 등 77억 원의 설립자산으로 시작해 연간 8억 5000만 원 씩, 오는 2021년까지 모두 162억 원을 기금을 적립해 시민의 복지수요에 부응하고 전문화된 복지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목표다.

윤종준 시 복지정책과장은 “21세기의 복지행정은 공공과 민간영역이 얼마나 조화를 이루느냐가 관건”이라며 “대전복지재단은 각종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시민을 보호하고, 최상의 복지를 제공하는 게 목표”라고 강조했다.

한편, 서울, 부산, 경기는 2004년 1월 서울시복지재단, 2006년 3월 부산복지개발원, 2007년 11월 경기복지재단을 설립해 소외된 주민이 없는 복지사각지대 해소에 주력하고 있으며, 경북은 다음달 경북행복재단을 출범할 예정이다.

나인문 기자 nanews@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