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건설사들에 대한 구조조정 태풍이 올해도 강하게 휘몰아칠 전망이다.
<본보 4월 12일자 7면 보도>부실 프로젝트 파이낸싱(PF)에서 비롯된 건설업계 위기가 상당 규모의 PF가 몰린 오는 5~6월, 지역 건설업계는 물론 지역 주택시장에도 불똥이 튈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대규모 구조조정이 진행돼 올해는 그 규모가 일부 대기업 계열 건설사에만 한정될 것으로 예측됐으나 이달 들어서만 LIG건설, 삼부토건, 동양건설산업 등 중견건설사들이 잇따라 무너지자 상황은 반전됐다.
현재 이달 초부터 대기업 계열 건설사 5~6개가 구조조정 될 것이라는 설이 흘러나왔으나 금융업계는 이 보다 확대된 16개 건설사들을 구조조정 대상으로 확정하고, 그 범위 확대까지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상황에 충청권 건설사들은 물론 지역에 분양을 예고한 타지역 건설사들 모두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PF 대상 개발사업은 아파트 분양 등이 이뤄져야 유동성 확보가 가능하지만 현재 대전지역은 부동산 회복조짐에 대한 기대감은 충분한 반면 아직 올해 분양물량이 없어 시장분위기를 마냥 긍정적으로만 볼 수 없다는 게 지역 건설업계의 판단이다.
또 금융권에서도 10대 건설사는 안전하다는 믿음이 흔들리면서 상위 5대 건설사를 제외하고 대출을 해주지 않는다는 설까지 나돌면서 올해 주택사업을 예고한 지역 건설시장에 큰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 올해 대전에서 아파트 사업을 예고한 A 건설사는 수도권에서 사업을 진행하면서 총 5500억 원의 PF대출을 받은 뒤 자금유동성 위기설이 나돌고 있어 큰 우려를 낳고 있다.
이 건설사는 지난 2월 아파트사업 시행사가 파산하거나 아파트 건설사업의 지연 및 미분양에 따른 대출금의 원리금 상환이 어렵게 될 경우 지급보증까지 선 상태여서 사업성공에 올인해야 하는 절박한 처지다.
또 지역에 공동주택용지를 매입한 타지역 B 건설사도 올해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금융업계와 PF대출에 대한 협의를 앞두고 있지만 결과가 불명확해 올해 아파트 분양을 늦춰야 하는지에 대해 내부검토에 들어갔다.
지난해 말 부동산 PF 대출잔액 66조 원의 약 38%를 차지하는 25조 원의 만기가 올해 돌아오고 대부분은 2분기에 집중돼 있어 건설사로서는 5~6월이 시련의 시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지역 한 건설사 관계자는 “대전에는 자체예산을 갖고 사업을 진행하는 건실한 기업이 있는 반면 충청권 일부 건설사의 경우 자금유동성에 문제를 노출해 매달 수천만 원의 PF대출 이자를 카드 돌려막기하는 심각한 건설사들이 존재하고 있다”며 “최근 건설사들의 연이은 부도소식에 금융권이 PF 만기 연장에 더욱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고 있어 추가 담보가 없는 업체들은 피해가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