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유치에 공조했던 충청권이 입지선정을 위한 후보지 현황 조사에서는 협의조차 없어 공조체제를 무색케 하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 13일 충북 등 전국 자치단체에 과학벨트 거점지구가 입지할 만한 부지를 22일까지 보고해 달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

교육과학기술부가 '부지현황조사'라는 제목의 공문을 통해 제시한 거점지구 입지평가 대상지역 조건은 전체 면적이 165만 ㎡(50만 평) 이상일 것, 산업단지 등과 관련해 지구 지정을 마쳤거나 지구 지정을 추진 중인 곳 등이다.

앞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위원회 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이 들어설 과학벨트 거점지구 입지평가 대상지역을 '비수도권 가운데 165만 ㎡ 이상 개발 가능한 부지를 확보한 전국 시·군'으로 정했다. 이런 조건을 갖춘 지자체는 전국적으로 60~80곳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충북도는 청주테크노폴리스, 오송제2산업단지, 음성 태생국가산업단지, 충주 기업도시, 진천·음성혁신도시 등 5~6곳을 후보지로 신청할 계획이다.

하지만, 충북도가 정부에서 요구하는 부지현황조사 차원의 도내 후보지역을 신청하기로 한 것은 그동안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 공조체제의 대전·충남과 조율이 없었다는 점에서 총론은 ‘공조’, 각론은 ‘따로국밥’으로 가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낳고 있다.

지역 과학계의 한 관계자는 “충청권이 과학벨트의 최적지임이 여러 용역 결과에서 입증됐다”며 “충청권이 공조체제가 구축된 만큼 부지현황조사를 각 지자체별로 할 것이 아니라 공조차원에서의 협의가 당연히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충청권 조성은 당연한 것이지만, 전국적으로 이슈화된 국책사업인 점을 감안해 입지선정 마지막까지 철저한 공조가 유지돼야 한다”고 밝혔다.

지역정가의 한 관계자는 “과학벨트의 충청권 조성이라는 공조체제는 목표가 달성될 때까지 유효한 것”이라며 “일각에서는 대전권이 거점지구가 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는 등 지자체 간의 갈등요인이 상존하고 있어 충청권 조성을 위한 역량 결집이 흐트러질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이 관계자는 “영남권과 호남권은 과학벨트 유치에 사활을 걸다시피하고 총력 대응하고 있다”며 “하지만, 충청권은 공조체제 속에서도 지역 유치를 주장해오고 있어 입지선정 막바지 역량 결집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충북도는 “교육과학기술부가 자료제출을 요구한 것은 부지현황조사를 위한 것으로 우리 지역에서 과학벨트위가 마련한 기준에 맞는 부지를 파악하고 있다”며 “교과부의 공문이 접수된 지 얼마 되지 않아 대전, 충남과는 협의를 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3개 시·도가 부지와 관련해 협의할 필요성은 있다”며 “지사가 미국 방문을 마치고 귀국하는데로 충청권 공조 차원의 협의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과학벨트위는 후보지에 대한 입지평가를 하고 후보지 5곳을 압축한 뒤 다음달 말이나 6월초 이 가운데 한곳을 최종 거점지구 입지로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