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가 대전·충남·충북을 비롯한 전국 광역자치단체에 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 설치가 가능한 지역을 보고토록 해 전국 지자체가 조사에 착수했다.
그러나 교과부의 이 같은 보고 지시는 과학벨트를 둘러싼 지자체들의 치열한 유치 경쟁을 더욱 부추길 공산이 클 뿐만 아니라 정치권에선 ‘분산배치’를 위한 수순이라는 곱지 않은 시선도 나오고 있다.
17일 충남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14일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과학벨트 거점지구가 입지할만한 부지를 조사해 22일까지 보고해달라는 내용의 공문을 받았으며, 이에 따라 지난 15일 도내 16개 시·군에 과학벨트 부지를 조사해 달라고 요청했다.
교과부가 지정한 거점지구 입지평가 조건은 비수도권 지자체 가운데 필요면적 165만㎡(기초과학연 33만~50만㎡, 중이온가속기 110만㎡ 등) 이상인 부지, 조속히 개발이 가능한 토지 등이다.
이에 따라 도는 과학벨트 필요면적을 충족시키는 곳으로 과학벨트 최적지로 평가받고 있는 세종시를 포함해 이미 지구지정을 마쳤거나 지구지정을 추진 중인 곳 약 15곳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했다.
대전시와 충북도 역시 교과부의 지시에 따라 과학벨트 거점지구 입지 가능 부지에 대한 검토가 들어간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하지만 지역 과학계와 정치권에서 그동안 대전·충남·충북 등 충청권이 과학벨트 입지를 위해 공조해온 만큼, 이번 부지 선정 역시 공조체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오고 있다.
지역 과학계의 한 관계자는 “충청권이 과학벨트의 최적지임이 여러 용역 결과에서 입증됐다”며 “충청권이 공조체제가 구축된 만큼 부지현황조사를 각 지자체별로 할 것이 아니라 공조차원에서의 협의가 당연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역정가의 한 관계자는 “과학벨트의 충청권 조성이라는 공조체제는 목표가 달성될 때까지 유효한 것”이라며 “지자체 간의 갈등요인이 상존하고 있어 충청권 조성을 위한 역량 결집이 흐트러질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자유선진당 권선택 원내대표(대전 중구)는 17일 보도자료를 통해 “입지 평가 대상 원칙을 165만㎡ 이상 비수도권 전역으로 바꾼 것은 분산배치의 목적이 있기 때문”이라고 의혹을 제기했다.
권 원내대표는 “그 동안 각종 보고서에서 중이온가속기센터 부지를 150㎡ 이상 필요하다고 밝혀 온 것에 비해 165㎡의 규모는 협소하다”며 “과학벨트위원회는 거점지구 면적을 축소한 것과 앞으로 자족기능 확보를 위해 무엇을 할 것인지 설명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과학벨트위원회는 4~5월 중 전국 60~80곳의 후보지 중 연구기반 구축·집적 정도, 산업기반 구축·직접 정도, 우수한 정주환경 조성 정도, 국내외 접근 용이성 등을 1차 평가해 상위 10개 내외의 후보지를 4~5월 중 도출한다는 계획이다.
전민희 기자 manajun@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