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거점지구 후보지로 5~6곳을 과학벨트추진위원회(이하 과학벨트위)에 제출할 예정이다. 14일 도에 따르면 교육과학기술부는 13일 충북 등 전국 자치단체에 과학벨트 거점지구가 입지할 만한 부지를 22일까지 보고해 달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

교육과학기술부가 '부지현황조사'라는 제목의 공문을 통해 제시한 거점지구 입지평가 대상지역 조건은 전체 면적이 165만㎡(50만 평) 이상일 것, 산업단지 등과 관련해 지구 지정을 마쳤거나 지구 지정을 추진 중인 곳 등이다. 이에 따라 도는 청주테크노폴리스, 오송제2산업단지, 음성 태생국가산업단지, 충주 기업도시, 진천·음성혁신도시 등을 후보지로 신청할 계획이다.

과학벨트위는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이 들어설 과학벨트 거점지구 입지평가 대상지역을 '비수도권에서 50만 평 이상 개발 가능한 부지를 확보한 전국 시·군으로 정했다. 과학벨트위는 각 지자체로부터 후보지역을 제출받아 입지평가를 거쳐 5곳으로 압축 후 5월 말이나 6월 초에 최종 거점지구 입지로 확정할 예정이다. 도가 교과부에 후보지역을 제출할 계획인 가운데 충북의 우수한 입지조건이 제대로 평가될지 주목된다.

충북은 중부권 관문역할을 하고 있는 청주국제공항과 두 개의 고속도로, KTX오송분기역 등 교통여건이 우수하고, 국토의 중심에 있어 전국 어디서나 접근이 용이하다. 일부 지역이 화강암반지역을 형성하고 있어 지반 안정성 및 재해 안전성을 갖췄다. 오송과 오창지역이 보건의료산업과 최첨단산업지역으로 급부상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수한 입지 조건을 갖춘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처럼 과학벨트의 우수한 입지조건을 갖추고도 충청권 공조 ‘들러리’ 가능성에 대한 우려감이 높았다. 충청권은 과학벨트의 세종시, 오송·오창, 대덕 벨트화를 주장해왔다. 과학벨트의 집적화가 확정되면서 대전권 거점지구 가능성이 점쳐지기도 했다. 따라서 충북도는 과학벨트의 충청권 조성이라는 기본입장을 고수하면서 도내 지역의 거점지구 지정에 대한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 박경국 충북도행정부지사는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이 통합배치되는 만큼 우려했던 분산배치는 없을 것”이라며 “충청권 유치를 전제로 충북의 실익을 따져 나가겠다”고 밝혔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