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14일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 충북지부가 유가폭등으로 다음달부터 비수익 노선에 대해 감축 운행에 돌입하겠다고 나서 교통난과 시민들의 불편이 예상되고 있다. 이덕희 기자 withcrew@cctoday.co.kr | ||
충북도내 버스업체가 유가폭등으로 경영난을 겪고 있다며 다음달부터 비수익 노선에 대한 감축운행에 들어갈 계획이어서 교통난이 예상되고 있다.
14일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 충북지부에 따르면 도내 22개 시내·농어촌버스, 시외버스 업체는 유류비 인상에 따른 노선버스 운송 원가 인상분에 대한 재정 지원 및 유류세 전액 면제 등의 정부 대책이 마련되지 않으면 내달 1일부터 비수익 노선에 대한 감축 운행에 들어가기로 했다.
이들 회사가 보유한 차량은 1185대이며 이 가운데 30% 가량이 비수익 노선 운행버스라고 조합 측은 설명했다. 조합 측은 최근 국토해양부에 보낸 건의문을 통해 "지난해 11월 버스요금 조정 이후 기름 값이 ℓ당 228원이나 올라 경영난이 가중되고 있는 데도 정부는 택시의 유류세만 전액 면제해주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실제 26대의 버스로 진천군내 농촌지역을 운행하는 진천교통은 매월 7만여ℓ의 경유를 사용하고 있으나, 유가 급등으로 연간 3억여 원의 적자가 발생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조합 측은 "지역별 요금 조정으로 행정 비용이 낭비되고 있으며 요금조정 시기도 달라 주민 혼란만 가져오고 있다"며 "정부의 시내·농어촌버스 요금 통제를 즉시 철회하고 요금조정 시행 및 지자체의 요금조정 결정권을 국토해양부로 환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합 측은 또 버스요금 조정 물가연동제 시행, 버스 회사가 신고만으로 적자 폭이 큰 노선에 대한 운행 감축을 시행할 수 있도록 개선해 달라고 요구했다. 운송사업조합 심상호 전무이사는 "대부분의 업체가 치솟는 유가로 극심한 경영난을 겪고 있어 도를 통해 국토해양부에 건의문을 보냈다"며 "현재로서는 감축에 들어갈 방침이며, 운행중단은 계획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심 이사는 “만약 감축이나 운행중단을 할 경우 오지노선부터가 해당이 돼 노약자나 저소득층 등 교통약자들이 타격을 받게 될 것로 보인다”면서 “정부 지원이 불가능하다면 충북도에서 다른 지역처럼 지원방안을 마련해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도 관계자는 "조합 측의 건의내용이 중앙부처에서 해결해야 할 사항으로 도로서는 정부 지원 방안을 이끌어 내도록 노력하는 것 밖에 없다”면서 “농어촌버스의 경우 도가 아닌 각 시·군이 나서서 업체측과 조율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성진 기자 seongjin98@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