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종민 카이스트 교수협회장이 14일 교내 창의학습관 터만홀에서 서남표 총장과 혁신위 구성에 합의한 내용의 문건을 들어보이며 기자들에게 설명하고 있다. 김호열 기자 kimhy@cctoday.co.kr  
 

이번 KAIST 사태의 해결 실마리를 풀어야 할 혁신비상위원회(이하 혁신위)의 활동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학교측 5명, 교수협의회(이하 교수협)측 5명, 학생측 3명 등 13명으로 구성되는 혁신위는 앞으로 3개월 동안 논란의 중심이 된 서남표 총장의 개혁정책을 포함에 KAIST 운영 전반을 재점검하게 된다.

서 총장과 협의가 되기 전 교수협은 서 총장에 대한 요구사항을 ‘새로운 리더십’이라는 포괄적 표현으로 제시하며 지금까지 추진되던 정책 전반의 재논의를 요구했다.

이날 경종민 교수협 회장은 “새로운 리더십은 지도자의 철학 등 추상적인 것일 수도 있고, 새로운 자(者)라는 두 가지 의미의 함축성을 활용한 것”이라며 “구체적으로 어떤 개혁의 리더십으로 놓을 것인지 여부는 혁신위의 활동 내용이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서 총장이 교수협과 만난 자리에서 혁신위의 결정을 반드시 수용하고 즉시 실행해야 한다는 강제적 규정까지 수용함에 따라 교수협도 서 총장의 거취 문제는 당분가 거론하지 않기로 했다.

이에 대해 학생들의 요구사항은 보다 구체적이다.

학부 총학생회는 지난 13일 임시총회에서 나온 요구 사항으로 △학생활동의 자율성을 침해하는 원규 개정 △차등수업료 전면 폐지 △재수강 횟수 제한 폐지, 전면 영어강의 개정 등 교육환경 개선 △복지 문화생활 개선 △2007년 이후 진행된 개혁에 대한 평가 진행팀 구성 및 평가보고서 작성 등이다.

또 대학원 총학생회에서는 연차 초과자 제도 폐지 또는 보완, 기성회비 부과 문제, 소통 개선 등을 학교측에 요구했다.

그러나 총학생회도 교수협처럼 서 총장의 거취 문제는 논의 대상에서 제외했다.

혁신위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하는 개혁정책 전반에 대한 재검토와 함께 이번 사태의 주요 원인으로 거론되는 등록금 납입과 연구비 관리 문제를 집중 재검토할 전망이다.

이처럼 혁신위는 학교 전반에 관한 모든 사항에 대해 논의하고, 활동이 종료되면 최종보고서를 KAIST 전체 구성원과 이사회에 보고할 예정이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