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의 집적화 원칙이 확정되고 입지 평가기준이 마련되면서 충청권 구축에 동참한 충북이 얼마나 실익을 챙기게 될지 주목된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위원회(이하 과학벨트위)는 13일 과학벨트의 핵심시설인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의 ‘통합배치’ 원칙을 확정했다.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이 들어설 과학벨트의 거점지구 입지 평가 대상지역은 비수도권의 165만㎡(50만 평) 이상의 개발 부지를 확보한 60~80개의 시·군이 해당한다. 과학벨트위 분과위인 입지평가위원회가 이들 지역에 대한 점수를 매겨 5개 후보지를 압축하고, 과학벨위가 한 곳을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세부 심사평가 항목은 과학벨트법상 입지 요건 가운데 ‘부지 확보 용이성’을 제외한 4가지 요건별로 3~5가지씩 두기로 했다. ‘부지 확보 용이성’ 항목은 165만㎡ 이상 비수도권 시·군 조건으로 대치하게 된다. 50만 평 부지 면적은 기초과학연구원 10만~15만 평, 중이온가속기 33만 평을 기준으로 설정된 것이다.
또 최근 일본 대지진과 방사능 유출 사고로 주목받았던 '지반 안정성 및 재해 안전성' 부문은 관련 전문가들이 세부 항목별로 점수가 아닌 '적격·부적격' 방식으로 평가한다.
과학벨트위는 이번에 확정된 원칙과 심사평가항목으로 전국 대상지역에 대한 심사를 거쳐 오는 6월 초 입지 예정지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처럼 과학벨트 입지 선정작업이 본격화되면서 충청권은 물론 전국 지자체들의 유치 경쟁이 더욱 뜨거워지고 있다. 특히, 과학벨트의 집적화 원칙이 확정되면서 충청권의 거점지구 가능성에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충청권은 과학벨트의 세종시, 오송·오창, 대덕 벨트화를 주장해왔다. 과학벨트의 집적화가 확정되면서 대전권이 거점지구 가능성이 점쳐지기도 했다.
이럴 경우 충북은 세종시에 이어 또다시 충청권 공조 ‘들러리’라는 비판을 면치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과학벨트위가 입지조건을 갖춘 60~80개의 시·군을 입지평가 대상지역으로 하고 있어 오송, 오창, 진천 등 충북지역도 심사대상에 포함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충북은 중부권 관문역할을 하고 있는 청주국제공항과 안정적인 지하암반지역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수도권과 가깝고 국토의 중심에 위치해 전국 어디서나 접근이 용이하다. 오송과 오창지역이 보건의료산업과 최첨단산업지역으로 급부상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수한 입지 조건으로 평가되고 있다.
오창지역의 경우 충북도가 지난 2008년부터 가속기센터 유치에 공을 들였던 곳인데다 국내 기초과학관련 기관들이 입주해 있다.
따라서 충북도는 과학벨트의 충청권 조성이라는 기본입장을 고수하면서 도내 지역의 거점지구 지정에 대한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도 관계자는 “과학벨트의 충청권 조성 원칙이라는 공조에는 변함이 없다”며 “다만, 과학벨트위가 대상지역을 80여 개 시·군으로 잡고 심사를 하겠다고 발표한 만큼 어느 지역이 될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밝혔다.도는 과학벨트의 거점지구가 대전과 충남지역으로 결정될 가능성에 대한 대안 마련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