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지난해 9월13일 대전시청 대강당에서 쓰레기 제로 대전만들기 크린시티감시단 발대식이 열려 녹색 풍선을 굴리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충청투데이DB | ||
‘생각을 바꾸고 행동을 바꾸면 소중한 자원이 됩니다.’ 지구의 달인 4월. 매년 이 맘때면 환경보호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캠페인이 넘쳐난다. 하지만 쓰레기를 줄이고 재활용을 늘리는 자원재순환 정책은 하루이틀 강조해서 끝날 일이 아니다. 대전시는 오는 10월부터 음식물 배출량에 따라 수거료가 부과되는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가 전면 시행을 앞두고 ‘자원순환형 사회’를 구축하기 위해 배수진을 쳤다.
자원순환형 사회는 폐기물(Wastes) 발생을 최대한 억제(Reduce)하고, 그래도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폐기물에 대해서는 재사용(Reuse), 재생이용(Recovery) 또는 적정한 처리를 통해 환경 부하를 최소화하면서 자연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사회 형태를 일컫는다. 그러나 자원순환형 사회는 누구나 공감하는 제도임에 틀림없지만, 생활 속에서 실천하기가 그리 쉬운 것만은 아니다.
◆발등의 불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쓰레기 종량제에 이어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가 시행되면서 당장 ‘밥상 문화’ 개선은 발등의 불로 떨어졌다. ‘배출자 부담 원칙’에 따라 배출량에 비례해 음식물 수거 수수료를 부과하는 종량제가 실시되면서 버리는 데도 돈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음식물폐기물 발생량은 2001년 1만 1237t에서 2009년 1만 4118t으로 늘어났다. 같은 기간 생활폐기물은 4만 8499t에서 5만 906t으로 5% 늘어난 데 비해 음식물은 25%나 늘어난 것이다. 음식물폐기물은 생활폐기물의 3분의 1에 가까운 규모다.
정부는 1997년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을 개정해 2005년부터 군을 제외한 시·구 단위의 지자체에서 음식물을 곧바로 매립하는 것을 금지했다. 이에 따라 음식물을 쓰레기와 분리 수거했다.
더욱이 오는 10월부터는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가 모든 자치구로 확대 시행돼 획기적인 감량정책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대전시는 음식물쓰레기 정책을 종량제로 전환하면 배출량이 최대 20% 이상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녹색잠재력 특·광역시 중 1위= 대전
대전시는 지난해말 대통령직속 녹색성장위원회가 발표한 녹색잠재력 평가에서 특·광역시 가운데 전국 1위를 차지했다.
녹색잠재력은 환경이 경제성장을 선도하고, 경제성장이 환경을 개선하는 선순환의 자원을 말하는 것으로 대전의 무한한 가능성이 실증된 셈이다.
녹색잠재력 지수는 △녹색경제잠재력(녹색산업으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역량) △녹색혁신잠재력(녹색기술혁신으로 녹색성장을 실현할 수 있는 능력) △녹색사회문화잠재력(녹색사회 구현을 위한 사회적 자본의 역량) △녹색환경잠재력(저탄소화 사회 실현을 위한 녹색생활공간을 만드는 역량) 등을 평가해 산출했다.
대전시는 이 같은 여세를 몰아 앞으로 녹색자원을 발굴하고 저탄소 도시공간을 조성하는 등 녹색산업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만들어 나갈 방침이다. 특히 자원순환형 도시 구축 및 녹색도시 구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시민들의 자발적인 동참과 실천의지가 중요하다고 판단, 다각적인 재활용 교육을 펼쳐 나가고 있다.
◆생활 속으로 파고드는 재활용 교육
시는 일상생활 속에서 올바르게 재활용품을 분리 수거할 수 있는 재활용품 실천능력을 배양토록 하기 위해 일반 시민, 주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재활용 아카데미’를 운영한다. 지속가능한 자원순환(Zero Waste)형 도시를 구현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이다.
이를 위해 대전도시공사 주관으로 환경자원사업소(유성구 금고동 산21)와 환경에너지사업소(대덕구 신일동 1690-5)에서 다양한 재활용 교육을 실시한다.
교육내용은 △생활쓰레기 감량 및 재활용 실천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교육 △재활용품 분리수거 체험교육 △재활용품을 활용한 공예품 만들기 △매립현장 및 침출수 처리시설 견학 등이다.
대전YWCA에서도 다음달부터 오는 11월까지 7개월 동안 참가를 희망하는 개인 및 단체 800명을 대상으로 전문강사를 초빙해 ‘찾아가는 재활용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김광신 시 환경녹지국장은 “폐기물 감량화(Reduce), 재사용(Reuse), 재활용(Recovery), 안전처리(Eco-treatment)를 통한 ‘자원순환형 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자연자원의 사용 최소화 〉 폐기물 원천감량 〉 자원화 〉 안전처리 등 다각적인 자원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며 “하지만 자원순환형 사회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자치단체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시민들의 자발적인 노력이 무엇보다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나인문 기자 nanews@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