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 경매시장이 전세난과 중소형아파트 공급부족 등으로 연일 신기록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3·22 부동산대책 발표 이후 수도권 경매시장은 숨고르기에 들어간 것에 비해 DTI규제를 받지 않는 지방은 경매시장 분위기를 가늠해 볼 수 있는 낙찰율, 낙찰가율, 평균 응찰자 모두 연이어 수치를 갈아치우며 뜨거운 경매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12일 부동산 경매정보업체 지지옥션이 3월 한달 동안 전국 15개 광역시·도의 아파트·주상복합 경매를 분석한 결과, 대전·충남 낙찰가율, 평균응찰자가 지난해 동기간과 비교해 큰 폭으로 오르며 신기록을 써내려가고 있다.

지역별 낙찰가율은 부산, 광주, 경남, 전북, 울산이 감정가를 넘겼으며, 통경매 아파트가 저가에 일괄경매 됐던 충북을 제외한 지방 광역시·도 낙찰가율이 수도권을 앞질렀다.

대전의 경우 지난해 3월 낙찰가율은 94.8%였으나 지난 2월 97.1%로 뛰어 올랐고, 3월에는 99.1%로 100%육박하는 신기록을 행진을 펼치고 있다. 평균 응찰자수도 마찬가지로 지난해 3월 9명에서 1년새 2.2명이 상승, 11.2명을 기록하는 등 낙찰가율, 평균응찰자수 모두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충남의 경우도 낙찰가율, 평균응찰자수 모두 지난해 3월보다 각각 7.2%, 3.1명이 늘어난 88.4%, 7.9명을 기록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역 경매시장의 이 같은 열기는 지방 부동산이 회복세를 보이자 경매를 통해 투자수익을 얻거나 내집을 얻으려는 투자자들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지속된 전세난으로 중소형아파트 중심으로 매매가격이 크게 오르고 있는 것이 주된 이유다.

또 경매는 입찰일 기준 4~6개월 전 감정이 이루어지는데 지역 집값 상승세가 워낙 커 감정시기와 입찰일 사이에 시세가 2000만~3000만 원씩 오른 아파트들도 나와 낙찰가율이 높아 보이지만 시세와 비교할때 오히려 저렴한 경우가 많아 응찰자들이 몰리고 있는 것이다.

지지옥션 관계자는 "수도권 지역이 DTI규제로 숨고르기에 들어간 것에 비해 DTI규제를 받지 않는 지방은 전세난과 중소형아파트 공급부족까지 이어져 경매 시장이 아주 뜨겁다”며 “경매시장에 나오는 중소형 아파트 물건은 한정돼 있고 수요는 많아 경쟁률이 치솟고 있는 가운데 낙찰에 실패하면 또다른 물건에 계속 응찰을 하고 있어 이와 같은 상승세는 당분간 계속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