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따른 학생 자살로 정책적 문제를 지적받고 있는 KAIST가 학사운영을 포함한 교육개선안을 내놨다.

이날 발표된 개선안에 따르면 현재 100% 영어로 수업하던 제도를 교양과목과 기초 필수과목을 우리말로 강의하기로 했다.

기초 필수과목은 영어강좌가 병행 개설된다.

또 학사과정의 학업부담을 약 20% 낮추기로 하고, 구체적인 방안은 가칭 학생참여위원회를 통해 결정할 방침이다.

성적 저조자에 대한 학사경고 제도도 입학 후 2학기 동안은 대상에서 면제키로 했다.

또 현재 학생상벌위원회, 등록금위원회, 식당운영위원회 등 학생 관련 위원회에만 국한됐던 학생참여 폭도 확대되며 재수강이나 계절학기 등과 관련해서는 관련 위원회에 학생이 참여해 개선안을 마련키로 했다.

이 밖에 상담센터 인력이 4명에서 6명으로 늘어나고 학생 인성검사와 정신건강 케어프로그램 등도 강화된다.

한편 징벌적 수업료로 지적되던 성적 연동된 차등수업료 부과제도는 지난 7일 네 번째 학생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직후 학사 8학기 동안 수업료 전액을 면제와 연차초과자에 대한 국립대 수준의 등록금 부과로 변경된 바 있다.

앞서 KAIST는 평점 3.0 미만의 학생들에 대해 전부 또는 일부 부과해오던 수업료를 학부생에 대해서는 성적에 관계없이 4년간 면제하는 한편 연차초과자에 대해서만 국립대 수준의 수업료를 부과키로 제도를 조정했다.

이 같은 개선안은 이사회 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된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