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대비 인구 면적 경제 등에서 3%인 충북은 또다시 들러리인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분산배치설에 충청권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충북의 들러리론이 현실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일부 언론매체는 과학벨트를 대전, 대구, 광주 세 곳으로 쪼개 '삼각벨트'로 만드는 방안이 청와대에 보고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7일 보도했다.
과학벨트 핵심시설인 기초과학연구원은 대전 KA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광주과학기술원(GIST) 등 3개 과학기술 중심대학으로 분산 배치되고, 중이온가속기는 별도 분리돼 기초과학연구원 본부(헤드쿼터)와 함께 새로운 지역에 들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또 본부와 중이온가속기는 대전·충남지역에 설치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내다봤다. 이 같은 과학벨트의 삼각벨트 분산배치설에 대해 정부의 강력한 부인에도 불구하고 충청권의 반발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한나라당충북도당은 이날 성명에서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해 1월 과학벨트 입지로 충청권이 최적이라는 용역결과를 발표했었다”며 “그럼에도 이제 와서 입지선정 주무부처가 과학벨트 분산배치 가능성을 언급하는 것은 의사결정의 신뢰성을 의심케 하고, 충청도민을 우롱하는 잘못된 행태”라고 비난했다.
민주당과 자유선진당도 과학벨트 분산배치설에 대해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 사수 결의를 다시 한번 확인하는 등 강력 반발하고 있다.
특히, 충북은 분산배치가 현실화될 경우 ‘들러리’ 가능성까지 걱정하게 됐다. 충북은 그동안 과학벨트의 충청권 조성에 동참해왔고, 오는 19일에는 청주에서 대규모 집회도 계획하고 있다. 과학벨트의 충청권 조성에 공조하는 속에서도 일각에서 충북 실리론이 지속적으로 제기됐었다.
과학벨트의 거점지구가 대전, 충남으로 결정되면 충북은 기초과학연구원, 중이온가속기 등 핵심시설 유치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점에서 ‘들러리’ 가능성을 크게 우려했던 것.
충청권 공조에 앞서 충북은 지난 2008년부터 오창 가속기센터 유치에 나서는 등 나름대로 과학벨트의 충청권 대선 공약에 대한 핵심시설 유치에 기대를 걸었었다. 하지만, 일부 언론에서 제기한 분산배치안은 본부와 중이온가속기 설치 지역에서 충북은 거론조차 되지 않았다. 따라서 지난해 세종시 원안 사수라는 충청권 공조에 동참했던 충북이 큰 실익 없이 ‘들러리만 섰다’는 여론이 재연될 가능성도 나오고 있다.
지역정가의 한 관계자는 “과학벨트의 충청권 조성이 분산배치설에 위기를 맞고 있지만, 분산배치안에서 마저 충북은 없다는 것이 큰 문제”라며 “정부가 분산배치설에 대해 강력히 부인하고 있어 좀 더 지켜봐야 하겠지만, 그동안 각종 선거에서 여권을 지지하지않고 전국대비 인구 면적 경제 등에서 3%밖에 안되는 충북을 버리는 최악의 시나리오도 염두에 두고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충북도의 한 관계자는 “과학벨트는 신공항 백지화보다 더 큰 파문을 불러올 수 있는 전국적으로 민감한 국책사업으로 분산배치 가능성을 전혀 배제할 수 없다”며 “과학벨트 위원회가 어떤 결론을 낼지 모르겠으나 위원들도 영남권 인사 편중 논란을 빚고 있어 걱정스럽다”고 밝혔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