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선택 자유선진당의원이 7일 대전시청 기자실에서 과학벨트 분산배치시 정권불복종 운동을 펼치겠다고 말하고 있다. 김호열 기자 kimhy@cctoday.co.kr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분산배치설을 놓고 정치권에서 논란이 증폭되면서 최대 화두로 급부상하고 있다. 특히 충청권에서의 반발이 커지면서 충청발 정계개편 논의까지 촉발시키고 있어 과학벨트 입지 결과에 따라 정치지형 변화도 예상되고 있어 태풍의 핵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나라당 박성효 최고위원은 7일 열린 최고위원 회의에서 안상수 대표와 설전을 벌여가며 ‘과학벨트 사수’ 최일선에 나섰다.

박 최고는 이날 “충청권 과학벨트가 실현되지 않을 경우 앞으로 대통령과 한나라당을 어떻게 믿을 수 있겠느냐는 신뢰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면서 “분산배치가 결정된다면 이는 국민을 우롱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나라당은 영남권 신공항 무산으로 인해 이 지역 국회의원들이 반발하고 나선데다 과학벨트 분산배치 문제가 돌출되면서 곤혹스런 모습이다.

충청권 입지를 당론으로 채택하고 있는 민주당은 원칙적으로 분산배치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지만 복잡한 속내를 드러내고 있다.

박지원 대표는 고위정책회의에서 “(대통령이) 대구시장과 경북지사를 왜 그렇게 은밀히 만나느냐. 그 말이 새 나오자 부인하고 있지만 사실로 확인되고 있다"면서 “대통령은 약속을 지켜야 한다는 것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민주당 김영진 의원(광주 서구 을)은 “과학벨트를 분산배치하면 대전과 광주, 대구의 과학기술 인프라와 연구개발(R&&D) 특구, 과학기술원대학 등을 한꺼번에 활용할 수 있다”고 분산배치에 찬성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자유선진당 이회창 대표는 ‘정치 인생을 걸고 분산배치를 막겠다’는 입장을 나타내면서 충청권 과학벨트 입지 사수에 배수진을 쳤다.

이 대표는 “과학벨트를 분산 배치하겠다는 이 정부의 생각은 대한민국의 미래와 우리 후손의 앞날을 짓밟겠다는 매우 무모하고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라면서 “과학벨트를 세계 최고로 만들기 위해서는 현재 공약한대로 가야한다”고 충청권 입지를 재차 강조했다.

국민중심연합 심대평 대표도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지금이 바로 이명박 대통령의 과감한 결단이 필요한 시기”라며 이 대통령의 조속한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 공약 이행을 촉구했다.

심 대표는 “이 대통령이 대한민국의 미래와 우리 다음 세대들을 위한 확고한 신념과 의지를 보여주기 바란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심 대표는 “과학벨트는 백지화된 동남권 신공항 대신 ‘이거라도 나눠주자’고 할 수 있는 지역 달래기 사업이 아니다”라며 “국가미래비전을 정치적 흥정거리 대상으로 만들어 극단적이고 소모적인 유치경쟁을 벌이도록 방치하는 것은 국가경영의 기본이 잘못돼 있는 것”이라고 강력하게 비판했다.

이의형 기자 eulee@cctoday.co.kr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