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선진당 이회창 대표가 7일 합당 필요성을 제기하자 충청 정가가 술렁이고 있다.
선진당 이 대표는 이날 과학비즈니스벨트의 분산 계획과 관련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고 “우리 정치권이 뭉쳐야 한다”며 “정체성에 반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충청권의 모든 정파와 정당이 힘을 합쳐야 한다. 필요하다면 대표직도 내놓을 생각”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국민중심연합과의 합당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는 가운데 심대평 대표 역시 이 같은 필요성에 공감을 하고 나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국중연 심 대표는 “충청권이 힘없는 지역으로 전락했다”며 “충청권 만이라도 하나로 몰아가야 한다. 큰 틀로 가야 젊은 세대에 새로운 희망을 줄 수 있다”고 화답했다.
심 대표는 그러나 “하나가 되려면 특정인이 중심이 되어서는 안된다”며 “깊이 생각해 보겠다”고 말했다.
이처럼 이 대표가 합당을 언급한 것과 관련 선진당 안팎에선 내년 총선과 대선을 치르기 위해선 현재의 당 상황으론 어려운 만큼 심 대표와의 합당을 통한 돌파구가 마련되어야 한다는데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실제로 선진당 내에선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위기감이 팽배해 있다.
당 일각에선 ‘창조적 파괴’를 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다른 정당과 합당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선진당 김창수 사무총장은 “오는 4·27 재보선에서 심 대표가 후보를 내지 않겠다고 한 것 역시 합당의 맥락으로 볼 수 있다”며 이 대표의 합당 발언과 관련 “(이 대표가) 자신의 거취와 연결시키면서 충청권 정치세력의 재결집을 언급한 것은 충분한 진정성이 있다”고 국중연과의 합당 가능성을 높게 예측했다.
이에 따라 양당이 본격적으로 합당 논의를 시작할지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합당을 위한 논의 계획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표 한 측근은 “(이 대표가) 갑작스럽게 결정한 것은 아니고 그동안 오랫동안 고민해왔던 부분”이라면서도 “향후 접촉 계획은 아직 없는 것으로 알고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 대표가 과학벨트 기자회견에서 ‘2선 후퇴’와 ‘합당’을 언급한 것에 대해 해석도 분분하다.
지난해 지방선거에 이어 재보궐 선거에서의 잇따른 패배 등 어려운 상황을 돌파하기 위해 합당 카드를 통한 당내 지도력 확인 차원이라는 해석과 함께 과학벨트의 분산을 계기로 당 일선에서 물러나 일단은 대선 준비에 전념한다는 시각도 나오고 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
선진당 이 대표는 이날 과학비즈니스벨트의 분산 계획과 관련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고 “우리 정치권이 뭉쳐야 한다”며 “정체성에 반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충청권의 모든 정파와 정당이 힘을 합쳐야 한다. 필요하다면 대표직도 내놓을 생각”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국민중심연합과의 합당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는 가운데 심대평 대표 역시 이 같은 필요성에 공감을 하고 나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국중연 심 대표는 “충청권이 힘없는 지역으로 전락했다”며 “충청권 만이라도 하나로 몰아가야 한다. 큰 틀로 가야 젊은 세대에 새로운 희망을 줄 수 있다”고 화답했다.
심 대표는 그러나 “하나가 되려면 특정인이 중심이 되어서는 안된다”며 “깊이 생각해 보겠다”고 말했다.
이처럼 이 대표가 합당을 언급한 것과 관련 선진당 안팎에선 내년 총선과 대선을 치르기 위해선 현재의 당 상황으론 어려운 만큼 심 대표와의 합당을 통한 돌파구가 마련되어야 한다는데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실제로 선진당 내에선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위기감이 팽배해 있다.
당 일각에선 ‘창조적 파괴’를 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다른 정당과 합당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선진당 김창수 사무총장은 “오는 4·27 재보선에서 심 대표가 후보를 내지 않겠다고 한 것 역시 합당의 맥락으로 볼 수 있다”며 이 대표의 합당 발언과 관련 “(이 대표가) 자신의 거취와 연결시키면서 충청권 정치세력의 재결집을 언급한 것은 충분한 진정성이 있다”고 국중연과의 합당 가능성을 높게 예측했다.
이에 따라 양당이 본격적으로 합당 논의를 시작할지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합당을 위한 논의 계획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표 한 측근은 “(이 대표가) 갑작스럽게 결정한 것은 아니고 그동안 오랫동안 고민해왔던 부분”이라면서도 “향후 접촉 계획은 아직 없는 것으로 알고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 대표가 과학벨트 기자회견에서 ‘2선 후퇴’와 ‘합당’을 언급한 것에 대해 해석도 분분하다.
지난해 지방선거에 이어 재보궐 선거에서의 잇따른 패배 등 어려운 상황을 돌파하기 위해 합당 카드를 통한 당내 지도력 확인 차원이라는 해석과 함께 과학벨트의 분산을 계기로 당 일선에서 물러나 일단은 대선 준비에 전념한다는 시각도 나오고 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