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는 7일 외교·통일·안보 분야 대정부 질문을 갖고 일본 대지진에 따른 원자력 발전 사고, 일본 독도 영유권 주장에 대한 정부대책 등을 집중 추궁했다.

이날 대정부 질문에선 영남 지역 의원들이 동남권 신공항 무산에 따른 후속대책 촉구가 이어지면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분산 배치 문제도 제기됐다.

이에 대해 김황식 총리는 “신공항 무산에 대한 보상으로 과학벨트가 분산 배치 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면서 “과학벨트는 오늘 교과부에서 추진위 첫 회의가 열린 만큼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고 객관적인 입지를 선정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총리는 최근 논란이 된 한·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 협정문 번역 오류와 관련, “통상교섭본부장을 포함해 관련된 사람들은 응분의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해 책임론을 제기했다.

김 총리의 이 같은 답변은 민주당 천정배 의원(안산 단원 갑)이 “협정문 번역 오류는 세계적 망신”이라고 지적한데 나온 것으로, 김 총리는 답변에서 “정부로서 할 말이 없다. 대단히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김 총리는 최근 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원전사고와 관련한 핵재처리의 방향에 대해 “올해 상반기나 7월 중 용역 결과가 나오기 때문에 현 정부 (임기) 내에 핵 처리에 관한 확고한 방침과 정책을 정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김 총리는 ‘방사성 비’에 대한 질의에 대해 “과학자와 전문가들 견해에 의하면 인체에 영향을 줄 정도의 방사성 물질이 포함돼 있지 않다고 평가하고 있다”면서 “국민의 건강과 직결된 문제에 대해 정확한 사실을 알려 불안을 없애는 게 바람직하다. 숨길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