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안상수 대표와 박성효 최고위원이 7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분산 배치설로 정면충돌했다.
충청권 출신인 박 최고위원이 이날 오전 열린 최고위 회의에서 ‘대통령 인품론’까지 들먹이며 일각의 과학벨트 분산 배치설 대해 항의하자, 안 대표가 “사퇴하라”라고 언급하는 등 험악한 분위기가 연출됐다.
김무성 원내대표는 회의에서 “주무부처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과 아침에 전화통화를 해 그런 결정은 있을 수 없다는 답변을 받았다”며 과학벨트 분산 배치설을 잠재우려 했다.
하지만 박 최고위원은 “정부나 청와대 측은 그런 일 없다고 하지만, 그런 경험을 한두 번 겪은 것이 아니다. 세종시 논란 때도 그런 경험을 수없이 겪었다”라며 “나중에 돌이켜 보면 일이 이상하게 가 있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그는 이어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분산 배치,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세종시 수정안 등의 실질적인 사례를 조목조목 들었다.
박 최고위원은 “이 문제(과학벨트)가 정책과 정치의 범위를 넘어 대통령의 인품까지 번져나가지 않기를 바란다”며 직격탄을 날렸다.
그러자 김 원내대표가 격앙된 목소리로 “너무 함부로 말하고 있다”며 제지에 나섰고, 안 대표는 “최고위원이 국가 전체의 이야기를 해야지 지역 얘기만 자꾸 하면 뭣 하러 최고위원 자리에 있나. 그렇게 할 거면 사퇴하지”라며 흥분을 가라앉히지 못했다. 분위기가 격앙되자 회의는 곧바로 비공개로 전환됐다.
박 최고위원의 이날 발언에 대해 당 안팎에선 “발언 수위 조절은 필요했지만, 오죽했으면 그렇게 했겠느냐. 충청권 출신 최고위원이 아무 말도 안하고 있는 것도 이상한 것 아니겠느냐”면서 “박 최고위원은 충청권 대표라고 할 수 있는데 안 대표가 너무 무시한 경향도 있다”는 반응이 나왔다.
한편, 안형환 당 대변인은 “비공개회의에서 안 대표와 박 최고위원은 서로 화해했다”고 전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
충청권 출신인 박 최고위원이 이날 오전 열린 최고위 회의에서 ‘대통령 인품론’까지 들먹이며 일각의 과학벨트 분산 배치설 대해 항의하자, 안 대표가 “사퇴하라”라고 언급하는 등 험악한 분위기가 연출됐다.
김무성 원내대표는 회의에서 “주무부처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과 아침에 전화통화를 해 그런 결정은 있을 수 없다는 답변을 받았다”며 과학벨트 분산 배치설을 잠재우려 했다.
하지만 박 최고위원은 “정부나 청와대 측은 그런 일 없다고 하지만, 그런 경험을 한두 번 겪은 것이 아니다. 세종시 논란 때도 그런 경험을 수없이 겪었다”라며 “나중에 돌이켜 보면 일이 이상하게 가 있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그는 이어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분산 배치,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세종시 수정안 등의 실질적인 사례를 조목조목 들었다.
박 최고위원은 “이 문제(과학벨트)가 정책과 정치의 범위를 넘어 대통령의 인품까지 번져나가지 않기를 바란다”며 직격탄을 날렸다.
그러자 김 원내대표가 격앙된 목소리로 “너무 함부로 말하고 있다”며 제지에 나섰고, 안 대표는 “최고위원이 국가 전체의 이야기를 해야지 지역 얘기만 자꾸 하면 뭣 하러 최고위원 자리에 있나. 그렇게 할 거면 사퇴하지”라며 흥분을 가라앉히지 못했다. 분위기가 격앙되자 회의는 곧바로 비공개로 전환됐다.
박 최고위원의 이날 발언에 대해 당 안팎에선 “발언 수위 조절은 필요했지만, 오죽했으면 그렇게 했겠느냐. 충청권 출신 최고위원이 아무 말도 안하고 있는 것도 이상한 것 아니겠느냐”면서 “박 최고위원은 충청권 대표라고 할 수 있는데 안 대표가 너무 무시한 경향도 있다”는 반응이 나왔다.
한편, 안형환 당 대변인은 “비공개회의에서 안 대표와 박 최고위원은 서로 화해했다”고 전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