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를 분산 배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면서 7일 충청권은 일제히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그동안 정치·정략적인 ‘과학벨트 분산 배치설’이 끊임없이 흘러나왔지만, 정부의 ‘양심’을 반신반의하며 자제해 오던 충청권은 ‘과학벨트가 이미 정부가 쓴 각본대로 진행되고 있다’며 격앙된 반응을 보이고 있다.

특히 ‘각본’에 따른 과학벨트 분산 배치가 현실화될 경우 제2의 세종시 사태를 넘어 전국이 혼란에 빠질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세종시 논란이 충청권이라는 지리적 범위 안에서 발생했던 사안이라면, 과학벨트는 경기도와 영호남 등 사실상 전국 지자체들이 유치경쟁에 뛰어든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자칫 정부 차원의 수습이 불가능한 국가 위기 상황까지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오고 있다.

자유선진당 권선택 원내대표(대전 중구)는 7일 대전시청에서 긴급기자회견을 열고 “이명박 정부는 과학벨트 입지를 짜인 각본을 갖고, 법으로 그럴듯하게 포장하면서 국민을 기만하고 있다”라며 “선진당은 이명박 정권에 대한 불복종 운동을 전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권 의원은 “(정부는)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로 영남민심이 들끓자 충청을 희생양 삼아 급한 불을 끄려하고 있다”라며 “이는 충청홀대를 넘어 충청인을 노골적으로 무시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과학벨트위원회가 첫 회의를 시작하기도 전에 주무부처 장관이 분산배치를 건의했다는 것은 과학벨트위원회가 사실상 청와대와 정부의 꼭두각시에 불과하다는 명백한 반증”이라며 “국가의 미래가 달린 사업을 마치 호주머니 속 쌈짓돈처럼 주물럭거리는 이명박 대통령은 더 이상 국가지도자 자격이 없다”고 힐난했다.

민주당 대전시당은 논평을 통해 “정부는 (과학벨트에 대해) 미리 결론을 내놓은 과학벨트위원회 회의는 뭐하러 하는지 모르겠다”며 “국민의 신뢰를 받지 못하는 정권은 사상누각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과학벨트 사수 세종시대책위원회(위원장 한상운)는 7일 충남 연기군 조치원신협 3층 회의실에서 200여명의 회원들이 참석한 대책회의를 열고 “과학벨트 분산 배치는 절대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대책위 이날 성명을 통해 “교과부는 과학벨트를 대전, 대구, 광주 세 곳으로 쪼개어 ‘삼각벨트’로 만드는 방안을 청와대에 보고했고, 이 대통령은 특정 지역단체장과의 오찬에서 분산배치를 긍정 검토하겠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라며 “이것이 사실이라면 신공항 백지화에 대한 보상으로 과학벨트를 활용하는 것으로 정부의 신뢰를 저버리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과학벨트의 분산 배치는 국민권익에도, 국익에도, 국가의 미래에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대통령과 정부는 과학벨트 분산 배치 음모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과학벨트 대선공약 이행 범충청권비상대책위원회도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4일 경북지사와 대구시장을 청와대로 불러 오찬을 하면서 과학벨트 경북 분산배치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며 “이 발언이 사실이라면 ‘과학벨트는 정치논리가 아닌 과학계 스스로가 합리적으로 결정토록 해야 한다’는 자신의 약속을 또다시 부정하고 뒤집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

연기=황근하 기자 guesttt@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