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에 치러질 대선, 총선 등 바야흐로 선거의 계절이 다가오면서 일부 기관단체장이 정치행사나 특정 정치모임에 가세하고 있어 뒷말이 무성하다. 특히 시민의 귀중한 세금을 받고 있는 일부 기관단체장이 정치적인 색채를 드러내면서 합리적이고 공정한 기관운영이 이뤄질 수 있을지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높다.

실제 대전문화재단 박강수 대표(전 배재대 총장)는 최근 충청권 친박(친 박근혜)계 인사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한 포럼에 공동대표로 참여해 문화예술인들의 거센 반발을 사고 있다.

지역 문화예술인들은 “문화예술의 창작·보급, 시민들의 문화향수 기회 확대, 전통문화예술의 계승과 발전, 국내외 문화예술 교류사업 등을 추진해야 할 대전문화재단 대표가 정치성을 띤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차라리 정치에 관심이 있으면 사퇴한 후 참여하는 게 마땅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문화예술인들은 또 “속내가 아무리 순수하다고 하더라도 근무시간에 타지(천안)에서 열린 특정 정치모임에 참석한 것도 부족해 공동대표까지 맡아 활동하는 것은 납득할 수 없는 일”이라며 “출범 2년여를 맞고 있는 대전문화재단이 엉뚱한 방향으로 흐르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박 대표는) 정치적 모임체인 줄 모르고 참여했다고 항변하지만, 특정 정치결사체의 공동대표까지 수락하면서 그런 내용도 모르고 참여했다면 더 큰 문제”라며 “대전시민의 세금으로 7500만 원의 연봉에 관용차, 운전기사까지 제공받는 자리에 있는 분이 그렇게 공사를 구분 짓지 못한다면 문화예술인의 리더로서 자질이 의심스러울 뿐”이라고 일갈했다.

이에 대해 박강수 대표는 “매월 한두 차례 문화 관련 포럼을 개최한다고 해서 참여했으나 정치적 성향을 띠는 모임이라는 생각에 행사 도중에 빠져나왔다”면서 “(그 단체에) 공동대표에서도 빼달라고 요청한 상태”라고 해명했다.

한편, 대전문화재단은 지역문화예술 활성화를 통해 지역문화 정체성을 확립하고, 시민의 창조적 문화 활동을 지원하며, 문화향유 기회 확대 및 지역문화예술 인력을 육성함으로써 고품격의 문화창조도시 대전 구현을 목적으로 2009년 9월 출범했으며, 현재 1처 5팀에 15명이 근무하고 있는 대전시 산하 재단법인이다.

나인문 기자 nanews@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