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 유입된 방사성 물질로 지역학생 및 학부모들의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는 가운데 대전·충남교육당국이 이에 따른 대안마련에 나서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특히 방사능에 대한 정보조차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다수 학생들을 위해 피해예방·대처법 교육 등의 메뉴얼 구축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있다.
최근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전국 12개 지방측정소에서 공기 중 방사성 물질을 검사한 결과, 모든 지역에서 방사성 요오드(I-131)가 검출됐다고 밝힌바 있다.
KINS측은 공기 중 방사성 물질의 농도가 인체에는 전혀 무해한 수준이어서 별다른 문제가 없다고 발표했지만 공기는 물론 빗물에서도 방사성 물질이 검출되면서 학부모들의 불안감은 더해지고 있다.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이모(40) 씨는 “면역력이 떨어지는 아이들에게 방사능 피해는 치명적일수도 있다는 생각에 불안감을 감출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학교차원에서 방사능 관련 교육은 물론 각종 행사 등의 축소가 이뤄졌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대전시·충남도교육청은 검출된 방사능 양이 인체에 무해하다는 정부 발표를 이유로 미온적인 입장을 내비치고 있다.
더욱이 7일 전국적인 방사성 비 소식이 예고되면서 야외소풍, 체육활동 축소 등의 향후 학사일정 변경은 물론 방사능 노출 예방·대처교육이 요구되고 있지만 여전히 무관심으로 일관하고 있다.
실제 시·도교육청의 경우 관련업무 담당부서가 명확하지 않은데다 일선학교와의 소통도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시·도교육청 관계자는 “아직까지 방사능과 관련한 학생피해 대책은 물론 교육 메뉴얼은 없다”며 “향후 계획도 없다”고 말했다.
이에대해 시민단체 관계자는 “지진, 화재 등의 안전교육 메뉴얼은 구축된 반면 방사능과 관련해선 메뉴얼은 물론 담당부서까지 애매한 것이 현실”이라며 “이번 방사능 유출을 계기로 교육메뉴얼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