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대전도시철도 2호선이 도심을 순환하는 지상·지하 복합형으로 추진된다.
염홍철 대전시장은 6일 “도시철도 2호선 신설과 관련 지역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됐다"고 전제한 뒤 “2호선은 정부의 예비타당성 통과 조건에도 맞고, 1호선과 도시철도화된 국철과 중복이 안 되는 범위에서 노선을 정하려고 한다”며 사실상 내부 순환형 노선을 확정했다.
염 시장은 이날 시청 브리핑룸에서 가진 정례 기자회견에서 “이번 충청권 철도망 구축사업으로 대덕구와 동구, 중구 등 원도심 지역에 6~7개의 역사를 신설해 역세권 개발 효과는 물론 지역균형 발전을 도모할 계획”이라며 “2호선은 당초 나왔던 진잠~서대전4가~중리·오정을 거쳐 정부청사나 유성을 잇는 노선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전시는 이에 따라 도심을 관통하는 국철을 광역전철로 활용키로 하고, 기존의 흑석역과 가수원역, 서대전역, 회덕역, 신탄진역을 전철역으로 개량하고, 인구밀집도가 높은 도마·산성·문화·용두·중촌·오정·덕암지역 등에 6~7개의 중간역을 신설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또 충청권철도와 도시철도 1호선이 교차되는 용두동 일대에 환승역을 만들고, 시내버스와 환승체계를 정비키로 했다.
차종의 경우 당초 중량(重輛)전철에서 경량(輕輛)전철로 전환했으며, 도시의 장기발전 전략과 도시 미관 및 환경·안전성 등 공간활용 문제와 건설비용의 문제 등을 고려해 자기부상열차를 최적의 대안으로 주목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차량통행이 번잡한 지역은 지하로, 도시 외곽지역을 관통하는 구간은 지상 또는 고가로 건설하는 등 복합형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시의 기본적인 2호선 1단계 신설노선은 현재 진잠~관저~서대전4~대동5~중리·오정~정부청사(21.9㎞)를 경유하는 1안과 유성(28.6㎞)까지 연장하는 2안을 놓고 고심 중에 있으며, 2단계는 이들 노선에서 도안신도시를 거쳐 진잠까지 다시 돌아오는 노선으로 잠정 결정됐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