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조성사업을 추진할 과학벨트 위원회 첫 회의가 7일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주재로 개최되면서 충청권 입지 선정이 가시화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과학벨트 위원회는 첫 회의를 통해 과학벨트 조성사업의 향후 일정과 위원회 운영계획을 논의할 예정인데 입지선정 시기를 5월 말-6월로 결정할 방침이어서 주목된다.
이에 따라 입지평가위원회의 논의 과정에 충청권은 물론이고 전국적인 관심이 쏠리고 있다.
과학벨트 위원회는 이 교과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교과부·기획재정부·행정안전부·국토해양부·지식경제부·보건복지부 등 관계 부처 차관 6명과 민간 전문가 13명 등 모두 20명으로 구성됐다.
충청권 입지 선정을 결정할 입지평가위원회는 한문희 충남대 녹색에너지 기술전문대학원장등 10명으로 구성됐다.
교과부는 과학벨트 입지의 객관성을 담보하기 위해 평가위원회 위원들의 지역별 균형을 고려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상위 기구라 할 수 있는 과학벨트위원회 구성에 영남 출신이 편중됐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입지 평가 공정성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김황식 국무총리는 이날 대정부 질문 답변을 통해 “과학벨트는 법에 정해진 위원회가 과학적, 객관적, 합리적 근거에 의해 다루는 문제”라며 원칙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김 총리는 분산배치가 거론되는 데 대해 “신공항 문제에 대한 보상으로 과학벨트를 활용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보상과 타협의 차원에서 (국책사업을 운영)해서는 나라가 더 혼란에 빠진다는 생각”이라고 분산배치 반대론을 분명히 했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