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는 6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사업을 본격 추진하기 위해 과학벨트위원회에 참여할 위원 20명의 명단을 공개했다.
위원회는 과학벨트특별법에 따라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이 위원장을 맡았고, 교과부·기획재정부·행정안전부·국토해양부·지식경제부·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 차관 6명이 당연직 위원으로 참여했다.
또 김상주 대한민국 학술원 원장이 부원장을 맡는 등 과학계 전문가 13명이 위촉 위원에 포함됐다.
과학벨트위원회는 입지 선정을 비롯한 과학벨트 기본계획을 수립·확정하는 작업을 벌인다.
이 때문에 위원들의 성향과 그동안의 활동 상황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선 이미 공개된 당연직 위원 7명 중 절반 이상이 영남 출신이라는 점에서 '공정성'에 대한 논란은 끊이질 않고 있다.
자유선진당 이회창 대표는 지난 5일 “적어도 국가 기관이든 어떤 단체가 일을 할 때는 공정한 인식을 줘야 한다”며 “그런데 이렇게 치우친 구성을 가지고 하면 과연 국민에게 신뢰를 얻을 수 있겠는가”라고 의문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교과부 관계자 등은 “당연직 위원의 경우 과학벨트 특별법에 따른 것으로 의도적으로 특정 지역 출신을 배치한 것은 아니다”라고 해명한 후 “당연직 위원은 민간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과학적 검증을 할 수 있도록 행정적 검토 등을 지원하는 역할이 더 크다”고 말했다. 위촉 위원 가운데 민동필 기초기술연구회 이사장이 가장 두드러진다. 핵물리학자인 민 이사장은 지난 대선을 앞두고 당시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였던 이명박 후보에게 ‘과학벨트’라는 개념을 처음 심어준 인물이다. 대한민국 건국 이래 초유의 과학 국책사업인 과학벨트 사업은 사실 그의 머릿속에서 출발해 대선 공약으로 굳어졌고 오늘까지 온 것이다.
때문에 위원회에 참여한 민 이사장의 발언에 상당한 무게감이 실릴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민 이사장은 지난 2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입지와 관련 “과학도시 성공에 중요한 요인은 토지 확보다. 120만 평 정도는 있어야 하는데 세종시의 장점은 국가가 토지를 확보하고 있어 언제라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밝혀 주목받은 바 있다.
박양호 국토연구원 원장도 위원으로 위촉됐다. 박 원장은 지난 2009년 정부가 세종시 수정안을 들고 나온 후 만든 ‘세종시 민관합동위원회’에서 활동한 바 있다. 당시 정치권은 세종시 민관합동위에 대해 정부의 세종시 수정론 추진을 위한 들러리에 불과하다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때문에 박 원장에 대해 정부 측 인사라는 시각이 많다.
또 전남 광주 출신인 이병택 전남대 교수는 과학벨트 호남 유치를 주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난 2008년 광주R&D특구 신청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실무위원 중심으로 구성된 페이퍼워킹그룹(단장 이병택)은 “첨단기술·국제R&D시장형성·과학기술과 문화가 합쳐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를 호남권에 조성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 밖에 강태진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 회장(서울대 교수)은 세종시 수정 논란 당시 ‘서울대 공대 세종시 이전’을 들고 나와 이목을 끌었고, 오세정 한국연구재단 이사장은 이명박 대통령 인수위 출신이다.
위원들의 지역별 안배도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교과부는 6일 보도자료를 통해 “(과학벨트위원회는) 입지선정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위원들의 지역별 균형도 고려했다”고 밝혔지만, 자유선진당 이상민 의원(대전 유성)은 반박 자료를 통해 영남권 출신이 40%를 차지했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당연직과 위촉직 위원 20명의 명단을 분석한 결과, 대구·경북·부산·경남 등 영남권이 8명으로 40%를 차지했다”며 “그다음으로 서울 25%(5명), 충청권 3명(15%), 호남권 2명(10%), 강원도 1명(5%)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