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도내에서 최근 산불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올 들어 도내에서 발생한 산불이 지난해보다 급증해 산림 당국과 자치단체의 산불 대책이 허술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연일 계속되는 산불에 산림 당국과 자치단체는 각종 대책을 쏟아내며 산불 제로화를 외치고 있지만, 헛구호에 그치고 있다.
특히 산림 당국의 각종 산불 대책에도 도내에서 주간에 활동한 산불감시원은 야간이 되면 대부분 철수하고 열을 감지하는 열화상 폐쇄회로(CC) TV 마저 부족한 것으로 알려져 구체적인 예방대책이 요구된다. 산림 당국과 충북도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올 들어 도내에서 발생한 산불은 18건으로 지난해보다 2배 넘게 증가했다.
올해 산불 피해면적도 9만㎡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0배를 훌쩍 넘어섰다. 이처럼 도내에서는 산불이 급증하고 있지만, 산림 당국과 자치단체의 대책은 제자리걸음이다. 문제는 산림 당국과 자치단체가 각종 산불 대책을 쏟아내고도 정작 결과는 좋지 못하다는 데 있다.
충북도는 6일까지를 산불 특별방지 대책기간으로 정하고 도내에서만 1만 1500여 명을 투입해 산불 제로화 작전에 나섰지만, 도내에서는 연일 산불이 잇따랐다.
산불 특별방지 대책기간에도 산불 예방에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한 것이다. 특히 충북도는 산불감시 초소 131곳(감시원 1200명)과 CCTV 33대(열화상 4대)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지만, 야간에는 산불감시원이 모두 철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나마 얼마 되지 않는 열화상 CCTV 몇 대에 의존할 뿐이다. 야간에 발생하는 산불에는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또한, 올 들어 발생한 산불 대부분은 자치단체에서 집중적으로 단속을 벌이고 있는 논·밭두렁 태우기나 쓰레기 소각에서 비롯됐다는 점은 구체적인 산불 대책의 필요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충북도 관계자는 “요즘같이 건조한 날씨에는 아무리 각종 대책을 동원해도 산불 예방에는 그만큼의 한계가 있는 게 사실”이라며 “헬기 감시와 첨단장비를 동원해 산불 예방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고형석 기자 kohs@cctoday.co.kr
연일 계속되는 산불에 산림 당국과 자치단체는 각종 대책을 쏟아내며 산불 제로화를 외치고 있지만, 헛구호에 그치고 있다.
특히 산림 당국의 각종 산불 대책에도 도내에서 주간에 활동한 산불감시원은 야간이 되면 대부분 철수하고 열을 감지하는 열화상 폐쇄회로(CC) TV 마저 부족한 것으로 알려져 구체적인 예방대책이 요구된다. 산림 당국과 충북도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올 들어 도내에서 발생한 산불은 18건으로 지난해보다 2배 넘게 증가했다.
올해 산불 피해면적도 9만㎡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0배를 훌쩍 넘어섰다. 이처럼 도내에서는 산불이 급증하고 있지만, 산림 당국과 자치단체의 대책은 제자리걸음이다. 문제는 산림 당국과 자치단체가 각종 산불 대책을 쏟아내고도 정작 결과는 좋지 못하다는 데 있다.
충북도는 6일까지를 산불 특별방지 대책기간으로 정하고 도내에서만 1만 1500여 명을 투입해 산불 제로화 작전에 나섰지만, 도내에서는 연일 산불이 잇따랐다.
산불 특별방지 대책기간에도 산불 예방에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한 것이다. 특히 충북도는 산불감시 초소 131곳(감시원 1200명)과 CCTV 33대(열화상 4대)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지만, 야간에는 산불감시원이 모두 철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나마 얼마 되지 않는 열화상 CCTV 몇 대에 의존할 뿐이다. 야간에 발생하는 산불에는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또한, 올 들어 발생한 산불 대부분은 자치단체에서 집중적으로 단속을 벌이고 있는 논·밭두렁 태우기나 쓰레기 소각에서 비롯됐다는 점은 구체적인 산불 대책의 필요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충북도 관계자는 “요즘같이 건조한 날씨에는 아무리 각종 대책을 동원해도 산불 예방에는 그만큼의 한계가 있는 게 사실”이라며 “헬기 감시와 첨단장비를 동원해 산불 예방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고형석 기자 kohs@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