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총선이 임박하면서 대전지역 출마 후보군들의 행보도 점차 빨라지고 있다.
대전은 전국적인 정치 상황뿐만 아니라 내부적인 정치 쟁점들로 인한 변수가 워낙 많다 보니 특정 정당이나 후보의 우세를 점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 때문에 대전 6석을 둘러싼 여야 각 정당과 후보 간의 경쟁은 더욱 치열할 전망이다.
역대 총선 결과를 보더라도 대전의 민심은 상당히 변동적이었다. 지난 2004년 17대 총선에선 열린우리당에 6석 모두를 밀어줬지만, 2008년 18대에선 충청권을 기반으로 새롭게 탄생한 자유선진당에 5석을 몰아줬다.
17대 당시는 충청 지역 정당인 자유민주연합이 무너지면서 그 공백을 여당이었던 열린우리당이 차지했다면, 18대에선 다시 충청 민심에 기댄 선진당이 탄생하면서 표심을 당긴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내년 총선의 관전 포인트가 숨어 있다. 우선 대전지역 내 다수당인 선진당에 대한 민심의 평가가 어떻게 나올 것인가이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세종시 수정안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논란 과정에서 보여준 선진당의 활약 또는 소수정당으로서의 한계 등에 대한 성적이 민심 밑바닥에선 매겨지고 있다”라며 “선진당이 다시 한 번 민심을 얻을지, 자민련의 길을 걷고 그 공백을 한나라당이나 민주당 등 거대 정당이 차지할지는 지켜볼 문제”라고 말했다.
한나라당과 민주당 등 여야 거대 정당의 사정 역시 녹록하진 못하다. 한나라당의 경우 세종시와 과학벨트 논란을 겪으며 생긴 민심의 상처로 인해 전망은 낙관보다 비관에 가깝다. 다만 ‘선거의 여왕’ 박근혜 전 대표가 변수이다. 내년 총선이 사실상 대선 전초전이라는 점에서 대권 주자인 박 전 대표가 선거에 직접 뛰어든다면 대전지역 내 표심은 어디로 흐를지 장담하기 어렵다는 것이 정치권의 전망이다.
민주당도 내년 총선에선 해 볼만 하다는 분위기다. 선진당에 실망하고 한나라당에 대한 반감으로 인한 반사이익이 민주당에게 돌아올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지난 6·2 지방선거에서 유성구청장과 대전시의원 5석(비례 포함)을 차지하는 등 약진을 보였고, 야권 연대라는 카드도 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