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마트 주유소가 최근 대전시 교통영향평가를 조건부로 통과되면서 지역 첫 대형마트 주유소 탄생이 가시화되고 있다. 이른바 ‘통큰 주유소’로 불리며 논란이 일고 있는 대형마트 주유소 입점을 두고 지역에서도 찬반 양론이 뜨겁다. 얄팍한 상술에서 시작된 ‘미끼상품’과 가격 경쟁 촉발을 통한 ‘기름값 인하’라는 논란 속에서 롯데마트 주유소가 지역경제에 미칠 영향을 점검해 본다.
대전시는 지난달 28일 롯데마트 서대전점 주유소 설치에 대한 제2차 교통영향평가를 갖고, 야외 주차장 176.93㎡ 부지에 주유기 3기(차량 6대 동시 주유) 설치를 조건부로 통과시켰다.
주유소 설치로 인해 줄어든 주차면수 32대를 추가로 확보하고 기존 출구를 조정, 교통혼잡이 예상되는 인근 네거리 교통신호체계 운영방안을 충족시키면 주유소를 설치할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따라 롯데마트 측이 건축허가(증축) 등록을 완료하고, 소방법 등 관계법을 통과할 경우 대전지역 첫 대형마트 주요소가 들어서게 된다.
그러나 대형마트 주유소가 영업을 시작할 경우 주변 주유소 타격은 물론 이미 대형마트와 SSM 등으로 상권이 초토화된 영세자영업자 등 주변 상권을 황폐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국주유소협회 대전시지회는 생존권은 물론 교통대란과 주변 상권 붕괴가 우려된다는 내용의 청원서를 대전시와 유성구에 전달하며 즉각 반발에 나섰다.
점포 수 급증 등으로 인해 주유소업계 영업이익률이 감소해 경영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거대 ‘공룡주유소’가 탄생할 경우 지역 주유소와 인근 상권이 고사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실제 한국주유소협회에 따르면 전국주유소 수는 지난 1991년 3382개에서 지난해 1만 3003개로 무려 4배가 증가했고, 대전지역 역시 현재 190여개 주유소가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주유소 수 증가에 따라 월평균 판매량도 지난 1991년 1973드럼에서 지난해 993드럼으로 50% 이상 줄어든 상황이다.
특히 대형정유사 직영 또는 대리점을 제외한 자영주유소의 경우 10곳 중 8곳이 월평균 판매량에도 미치지 못하는 매출부진에 허덕이고 있다.
한국주유소협회 대전시지부 임재수 사무국장은 “주유소 증가로 판매량은 줄고 정부 가격경쟁유도 정책으로 마진까지 줄어들어 자영주유소의 경영이 악화되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 대형마트 주유소까지 가세한다면 지역 자영주유소가 무너질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주유소업계 뿐만 아니라 시민사회단체와 소비자단체들 역시 대형마트 주유소의 명암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시민사회단체와 소비자단체는 우선 경쟁 촉발로 인한 가격인하 가능성은 반기면서도 소비자를 현혹하는 상술로 전락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일부 대형마트들이 입점 초기에는 판매물품을 저렴한 가격에 공급하다 시간이 지나면서 가격을 올린 사례를 경험했기 때문이다.
이들 단체는 대형마트 주유소가 ‘통큰 치킨’과 ‘통큰 갈비’, ‘통큰 TV’ 처럼 상술에 그친다면 지역 소비자 혜택과 편의가 아닌 오히려 지역경제에 독이 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경실련 관계자는 “낮은 기름값을 내세워 인근 주유소를 고사시킨 뒤 다시 기름값을 올리게 된다면 결국 시민들만 피해를 보게 될 것”이라면서 “손님을 끌기 위한 미끼상품으로 전락해 소비자를 농락하는 일이 없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