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부동산 대출 등 대형 수익창출원을 잃은 저축은행들이 신용대출을 통해 수익을 내고 있지만 건전성에 대한 우려는 여전하다.
최근 부실 저축은행들이 영업정지를 당하며 저축은행업계의 수익창출이 어려운 상황에서 건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신용대출은 저축은행 안정화에 ‘독’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금융감독원이 지난달 31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저축은행의 가계 신용대출 잔액은 4조 6000억 원으로, 전년 말 3조 2000억 원 보다 1조 4000억 원 증가했다. 기간별로는 지난해 상반기에 4000억 원, 하반기에 1조 원씩 증가하며 연간 증가율은 43.8%에 달했다.
이로 인해 저축은행 총 대출에서 가계신용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9년 말 5.0%에서 지난해 말 7.1%로 상승했다.
저축은행의 신용대출은 올들어서도 급증세가 이어지며 올 1월 말 기준 신용대출 잔액은 4조 9000억 원으로 한 달 새 3000억 원이나 늘어났다.
이는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에서 대거 손실을 본 저축은행들이 수익을 만회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마진이 좋은 신용대출을 차선책으로 선택했기 때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에 대해 금융위 측은 "정부 입장에서도 가계 신용대출을 늘리라는 입장이었기 때문에 건전성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에선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반면 금융감독원 측의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저축은행의 가계신용대출이 단기간에 큰 폭으로 늘어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며 "리스크 관리를 제대로 하고 있는 지, 규정을 벗어난 대출모집 행위는 없는 지 주의깊게 살펴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영업정지를 당한 저축은행들의 ‘부실화’ 과정이 대부분 수익 창출이 원활치 않은 상황에 무리한 이윤 추구를 단행하던 중 나온 전례가 있기 때문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기존 영업정지된 저축은행을 비롯해 부실이 드러난 저축은행들의 경우 수익창출을 위해 ‘뭔가를 할 때’ 사고가 터져 불안한 것도 사실”이라며 “검사를 통해 제대로 여신을 취급하고 있는지 꾸준히 감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금융권 역시 저축은행들이 친서민적 본연의 업무에 충실할 수 있도록 금융당국이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지금까지 저축은행들은 고금리로 대규모의 수신을 유치하고 이를 리스크가 큰 대출로 운용한다는 비판을 들어왔다”며 “신용대출과 고금리 예·적금 등이 저축은행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에서 운용될 수 있도록 금융당국이 항상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최근 부실 저축은행들이 영업정지를 당하며 저축은행업계의 수익창출이 어려운 상황에서 건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신용대출은 저축은행 안정화에 ‘독’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금융감독원이 지난달 31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저축은행의 가계 신용대출 잔액은 4조 6000억 원으로, 전년 말 3조 2000억 원 보다 1조 4000억 원 증가했다. 기간별로는 지난해 상반기에 4000억 원, 하반기에 1조 원씩 증가하며 연간 증가율은 43.8%에 달했다.
이로 인해 저축은행 총 대출에서 가계신용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9년 말 5.0%에서 지난해 말 7.1%로 상승했다.
저축은행의 신용대출은 올들어서도 급증세가 이어지며 올 1월 말 기준 신용대출 잔액은 4조 9000억 원으로 한 달 새 3000억 원이나 늘어났다.
이는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에서 대거 손실을 본 저축은행들이 수익을 만회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마진이 좋은 신용대출을 차선책으로 선택했기 때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에 대해 금융위 측은 "정부 입장에서도 가계 신용대출을 늘리라는 입장이었기 때문에 건전성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에선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반면 금융감독원 측의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저축은행의 가계신용대출이 단기간에 큰 폭으로 늘어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며 "리스크 관리를 제대로 하고 있는 지, 규정을 벗어난 대출모집 행위는 없는 지 주의깊게 살펴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영업정지를 당한 저축은행들의 ‘부실화’ 과정이 대부분 수익 창출이 원활치 않은 상황에 무리한 이윤 추구를 단행하던 중 나온 전례가 있기 때문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기존 영업정지된 저축은행을 비롯해 부실이 드러난 저축은행들의 경우 수익창출을 위해 ‘뭔가를 할 때’ 사고가 터져 불안한 것도 사실”이라며 “검사를 통해 제대로 여신을 취급하고 있는지 꾸준히 감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금융권 역시 저축은행들이 친서민적 본연의 업무에 충실할 수 있도록 금융당국이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지금까지 저축은행들은 고금리로 대규모의 수신을 유치하고 이를 리스크가 큰 대출로 운용한다는 비판을 들어왔다”며 “신용대출과 고금리 예·적금 등이 저축은행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에서 운용될 수 있도록 금융당국이 항상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