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보은군 속리산 법주사가 1일부터 문화재관람료를 인상키로해 논란이 일고 있다.
법주사는 이날부터 성인은 3000원에서 4000원으로, 청소년은 1400원에서 2000원으로 각각 문화재관람료를 올린다. 초등학생만 종전대로 1000원을 받기로 했다.
법주사 측은 “대폭 오른 물가와 매년 늘어나는 문화재보수비를 충당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인상이유를 밝혔다. 하지만 이 같은 법주사의 문화재관람료를 바라보는 시각은 곱지 않다.
지역상인들은 법주사의 문화재관람료 인상이 관람객 감소로 이어져 지역상권이 위축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법주산 인근 상인 A 씨는 “안그래도 타지역 사찰보다 비싼 문화재관람료때문에 관광객들의 불만이 많았는데 추가 인상까지 하니 아주 발길을 끊을까 걱정”이라고 토로했다.
오랫동안 지속되고 있는 문화재관람료 논란도 재연되고 있다.
법주사는 속리산을 오르는 등산로에서 문화재관람료를 받고 있다. 즉 법주사를 관람하지 않고 속리산 등산만 하는 등산객에게도 문화재관람료를 받고 있는 것이다. 이에 일부 등산객들은 문화재관람료가 아닌 ‘통행세’라며 반발해왔다.
등산객 B 씨는 “법주사를 관람하지 않았는데도 문화재관람료를 받아 기분이 언짢았고 타 지역에서는 문화재관람료를 없애는 사찰도 있는데 오히려 인상하는 것은 지나치다”고 불만을 드러냈다.
보은=황의택 기자 missman@cctoday.co.kr
법주사는 이날부터 성인은 3000원에서 4000원으로, 청소년은 1400원에서 2000원으로 각각 문화재관람료를 올린다. 초등학생만 종전대로 1000원을 받기로 했다.
법주사 측은 “대폭 오른 물가와 매년 늘어나는 문화재보수비를 충당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인상이유를 밝혔다. 하지만 이 같은 법주사의 문화재관람료를 바라보는 시각은 곱지 않다.
지역상인들은 법주사의 문화재관람료 인상이 관람객 감소로 이어져 지역상권이 위축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법주산 인근 상인 A 씨는 “안그래도 타지역 사찰보다 비싼 문화재관람료때문에 관광객들의 불만이 많았는데 추가 인상까지 하니 아주 발길을 끊을까 걱정”이라고 토로했다.
오랫동안 지속되고 있는 문화재관람료 논란도 재연되고 있다.
법주사는 속리산을 오르는 등산로에서 문화재관람료를 받고 있다. 즉 법주사를 관람하지 않고 속리산 등산만 하는 등산객에게도 문화재관람료를 받고 있는 것이다. 이에 일부 등산객들은 문화재관람료가 아닌 ‘통행세’라며 반발해왔다.
등산객 B 씨는 “법주사를 관람하지 않았는데도 문화재관람료를 받아 기분이 언짢았고 타 지역에서는 문화재관람료를 없애는 사찰도 있는데 오히려 인상하는 것은 지나치다”고 불만을 드러냈다.
보은=황의택 기자 missman@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