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로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결정을 내린 가운데 만성적자에 허덕이는 청주공항 등 지방공항의 현주소가 또다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신공항 건설보다는 제구실을 하지 못하고 있는 기존 지방공항에 대한 정부차원의 지원확대가 우선돼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현재 인천국제공항을 제외한 지방공항은 김포, 김해, 제주, 대구, 청주, 무안, 양양(이상 국제공항), 광주, 원주, 군산, 울산, 여수, 포항, 사천(이상 국내공항) 등 모두 14곳.
이 가운데 서울 김포공항과 부산 김해공항, 제주공항을 제외한 나머지 11곳 모두 심각한 적자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31일 국토해양부와 한국공항공사에 따르면 지난 2005년부터 2009년까지 국내 14개 지방공항의 적자 총액은 2121억 9400만 원으로 한해 평균 424억 3800만 원에 달했다.
3개 흑자 공항을 제외한 나머지 11개 공항을 이용한 여객수 또한 2005년 667만 4000명에서 2009년 582만 3000명으로 감소추세에 있다.
중부권 관문공항을 표방하고 있는 청주국제공항도 사정은 마찬가지로 경영손실이 2007년 43억 원, 2008년 54억 원, 2009년 58억 원 등 해마다 적자폭이 늘고 있다. 이는 적자 공항 11곳 중에서도 하위수준으로 2009년 말 기준 적자폭이 청주공항보다 큰 곳은 울산, 무안, 양양, 여수 등 4곳에 불과했다.
지방공항이 만성적자를 편치 못하고 있는 이유는 빗나간 수요예측과 이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지 않은 위치 선정, 고속철도 개통, 고유가 등의 영향인 것으로 분석된다.
민영화 절차를 밟고 있는 청주공항만 보더라도 당초 기대와 달리 적자에 따른 항공사들의 잇단 노선 폐쇄로 '초미니 동네공항'으로 전락하는 수모를 겪어야만 했다.
특히 다른 공항들이 정기노선으로 운영되는 것에 비해 그동안 부정기 노선에 의존하며 국제공항으로서의 명맥만을 겨우 이어왔다. 이 때문에 공익성을 목적으로 하는 공항인 만큼 이들이 활로를 찾기 위해선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대책이 수반돼야 한다는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흑자 전환을 위해선 항공수요를 늘리는 방법 밖에 없지만 지방자치단체와 공항공사의 노력만으론 쉽지 않은 만큼 정부차원의 획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 지역인사는 "새로운 공항을 늘리기 보다는 기존 공항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지원대책이 우선돼야 한다"며 "특히 지방공항이 해당지역 경제발전의 중심축 역할을 해야 하는 만큼 공익적 차원에서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재 국토해양부는 지방공항 활성화 대책으로 공항시설 사용료 감면과 저비용 항공사 취항 등을 검토중이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
<국내 공항 실적>
공항 | 연간 운항편수 | 당기손익 |
김포 | 11만 8514 | 689억 원 |
김해 | 6만 2225 | 530억 원 |
제주 | 10만 3426 | 322억 원 |
광주 | 1만 315 | -12억 원 |
원주 | 673 | -16억 원 |
대구 | 8287 | -19억 원 |
군산 | 1387 | -22억 원 |
사천 | 1983 | -35억 원 |
포항 | 3598 | -56억 원 |
청주 | 9185 | -58억 원 |
울산 | 8632 | -61억 원 |
무안 | 1058 | -68억 원 |
양양 | 134 | -72억 원 |
여수 | 5658 | -79억 원 |
(연간 운항편수:2010년 기준, 당기손익:2009년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