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의 검사를 받은 저축은행마다 BIS비율(국제결제은행 자기자본비율)이 큰 폭으로 떨어져 예금자들의 불안감을 가중시키고 있다.
금융권에서조차 저축은행에 대한 당국의 관리·감독이 더욱 강화돼야 한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BIS비율은 자기자본을 위험가중자산으로 나눠 산출한 비율로, 일반적으로 고정이하여신비율과 함께 저축은행의 우량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실제 고정이하여신비율 8% 이하, BIS비율 8% 이상을 충족시키는 저축은행을 ‘8·8클럽’이라는 우량 저축은행으로 판단한다.
본보 취재결과 세종저축은행과 오투저축은행은 지난해부터 실시한 금감원 검사 결과, 대손충당금을 이익금으로 적립한 부분이 적발돼 5~8%의 BIS비율이 낮아졌다.
이로 인해 세종저축은행은 6.11%, 오투저축은행은 5.04%의 BIS비율을 기록하게 돼 예금자들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 금융권에서는 친서민 금융기관이라는 저축은행 본연의 취지를 무색케하는 일부 저축은행들의 불투명한 재무관리를 시중은행 수준으로 끌어올려 더 이상의 서민 피해를 막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들은 저축은행 업계의 업무 소홀과 규정 미숙지에 대해 의문점을 제기하며 전 저축은행에 대한 철저한 검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저축은행의 설립의도가 친서민의 금융지원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사소한 실수만으로도 서민들에게는 치명적인 손해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저축은행 스스로 자성해야 한다는 충고도 이어졌다.
지역의 한 금융전문가는 “친서민 경제를 위해 만들어진 저축은행들이 스스로 서민 경제를 위협하는 행동을 해서는 안된다”며 “이를 위해 본연의 업무를 충실히 하고 있는지에 대한 금융당국의 철저한 관리와 감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역 내 한 시중은행 관계자 역시 “이번 저축은행 사안들은 기본적인 업무 수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거나 담당자가 관련 규정을 제대로 숙지하지 못해 일어난 일로 본다”며 “이 같은 저축은행의 안일한 재무관리로 인해 서민들이 피해를 볼 수 있는 만큼 시중은행 수준의 투명한 재무구조를 확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소비자들은 불안한 저축은행 예금자들을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금융위원회와 금감원 등 금융당국부터 실추된 신뢰도를 다시 회복해야 한다는 반응이다.
모 저축은행 예금주 이모(33) 씨는 “정부에서 영업정지가 없을 거라고 발표하고도 영업정지 저축은행이 쏟아져 나온 지난달의 학습효과로 예금자들은 정부조차 믿지 못하고 있다”며 “금융당국은 저축은행 관리감독 강화는 물론 그 결과에 대한 확실한 발표를 통해 국민들의 신뢰부터 회복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금융권에서조차 저축은행에 대한 당국의 관리·감독이 더욱 강화돼야 한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BIS비율은 자기자본을 위험가중자산으로 나눠 산출한 비율로, 일반적으로 고정이하여신비율과 함께 저축은행의 우량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실제 고정이하여신비율 8% 이하, BIS비율 8% 이상을 충족시키는 저축은행을 ‘8·8클럽’이라는 우량 저축은행으로 판단한다.
본보 취재결과 세종저축은행과 오투저축은행은 지난해부터 실시한 금감원 검사 결과, 대손충당금을 이익금으로 적립한 부분이 적발돼 5~8%의 BIS비율이 낮아졌다.
이로 인해 세종저축은행은 6.11%, 오투저축은행은 5.04%의 BIS비율을 기록하게 돼 예금자들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 금융권에서는 친서민 금융기관이라는 저축은행 본연의 취지를 무색케하는 일부 저축은행들의 불투명한 재무관리를 시중은행 수준으로 끌어올려 더 이상의 서민 피해를 막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들은 저축은행 업계의 업무 소홀과 규정 미숙지에 대해 의문점을 제기하며 전 저축은행에 대한 철저한 검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저축은행의 설립의도가 친서민의 금융지원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사소한 실수만으로도 서민들에게는 치명적인 손해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저축은행 스스로 자성해야 한다는 충고도 이어졌다.
지역의 한 금융전문가는 “친서민 경제를 위해 만들어진 저축은행들이 스스로 서민 경제를 위협하는 행동을 해서는 안된다”며 “이를 위해 본연의 업무를 충실히 하고 있는지에 대한 금융당국의 철저한 관리와 감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역 내 한 시중은행 관계자 역시 “이번 저축은행 사안들은 기본적인 업무 수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거나 담당자가 관련 규정을 제대로 숙지하지 못해 일어난 일로 본다”며 “이 같은 저축은행의 안일한 재무관리로 인해 서민들이 피해를 볼 수 있는 만큼 시중은행 수준의 투명한 재무구조를 확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소비자들은 불안한 저축은행 예금자들을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금융위원회와 금감원 등 금융당국부터 실추된 신뢰도를 다시 회복해야 한다는 반응이다.
모 저축은행 예금주 이모(33) 씨는 “정부에서 영업정지가 없을 거라고 발표하고도 영업정지 저축은행이 쏟아져 나온 지난달의 학습효과로 예금자들은 정부조차 믿지 못하고 있다”며 “금융당국은 저축은행 관리감독 강화는 물론 그 결과에 대한 확실한 발표를 통해 국민들의 신뢰부터 회복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