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30일 대덕특구본부에서 열린 대한민국 과학기술 진흥을 위한 대덕특구와 과학벨트 역할분담과 협업방안 토론회에서 박구선 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전략기획본부장(오른쪽에서 세 번째)이 충청권 유치 타당성과 대덕ㆍ오창ㆍ세종으로 연결되는 시너지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호열 기자 kimhy@cctoday.co.kr | ||
국민중심연합 심대평 대표와 자유선진당 이상민 의원은 30일 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에서 안희정 충남지사 등 지자체 관계자와 과학계 인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대덕특구와 과학벨트 역할분담과 협업방안 토론회’를 공동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과학벨트 논란이 최근 영남권 신공항 문제 등 정치논리에 휘말려 분산될 수 있다는 일부 견해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불거졌다.
또 기존 대덕특구 인프라를 충분히 활용해야만 과학벨트의 성공 가능성도 높아진다는 과학적 견해가 대두됐다.
이날 이 의원은 인사말을 통해 “대한민국의 100년 대계를 위해 대덕특구를 전제로 하지 않는 과학벨트는 있을 수 없다”며 “정치논리에 의한 반발 무마용으로 과학벨트 입지가 움직인다면 이는 영남지역 주민마저 모독하는 것이며, 전체 국민을 얕잡아 보는 것”이라고 말했다.
주제 발표자로 나선 박구선 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전략기획본부장은 “과학벨트는 근본적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 패러다임을 바꾸자는 것”이라며 “우리나라의 기초과학 역량이 집중될 수 있도록 정체성이 확보되고 또 나눠지면 안된다”고 밝혔다.
그 동안 입지 문제에 대해서는 말을 아끼던 과학계에서 충청권이 최적지임을 구체적으로 언급하기 시작했다.
양명승 전 한국원자력연구원장은 “오랜 기간 조성된 대덕특구와 과학벨트를 연계시킴으로써, 조속한 시일 내에 국가 신성장 동력을 창출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과학벨트의 핵심인 중이온가속기에 대해 “대형가속기 사업은 돈만 주어진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경험있는 설계·연구인력이 필요하다”며 “대덕에는 이와 관련해 원자력연구원과 국가핵융합연구소 등 전문 기관과 인력이 많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행사장을 방문한 안 지사는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는 당초 이명박 대통령의 약속대로 하는 것이 대통령과 대한민국 모두에게 유익하다”고 말했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