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에 대한 후속 대책으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 첨단의료복합단지를 거론하지 않아 충북 관련 국책사업에 대한 부정적 영향은 빗겨가게 됐다. ▶관련기사 4면

하지만, 과학벨트 분산 배치는 여전히 상존하고 있어 충청권의 반발이 계속되고 있다. 정부는 30일 이명박 대통령의 공약사업인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를 발표했고, 김황식 국무총리는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에 따른 정부의 입장을 밝혔다. 김 총리는 정부 입장 발표에서 구체적인 후속 대책을 언급하지 않아 당초 우려했던 과학벨트 분산 배치 등 충북 관련 국책사업에 대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에 따른 부산과 대구·경북의 민심 달래기용 과학벨트 분산 배치와 대구첨복단지 지원 등 후속 대책이 거론됐었다.

정부가 대선공약인 동남권 신공항 건설을 백지화하면서 과학벨트도 적잖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충청권 지자체들이 후속대책에 촉각을 세웠다.

또 일각에서는 정부가 대선공약인 신공항을 포기한 것에 비춰 볼 때 과학벨트 입지 선정 연기 또는 분산 배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해석을 내놓기도 했다.

특히, 과학벨트의 분산 배치 가능성에 관심이 쏠렸다. 과학벨트는 영·호남권까지 유치 경쟁에 가세하면서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고, 호남권은 분산배치론을 주장하고 있다. 민주당 광주·전남 국회의원들은 이날 대전, 대구, 광주 내륙 삼각벨트 방안을 정부에 건의했다.

이같이 영호남권에서 과학벨트 유치에 적극 나서는 가운데 정부가 대선공약인 신공항 건설 백지화를 발표하면서 충청권 구축 대선공약 이행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충청지역이 우려하고 있다.

과학벨트의 신공항 백지화에 따른 대구·경북지역 민심 달래기 가능성에 충청권이 강력 반발했다. 지역정계와 시민단체는 연일 정부의 민심 달래기 과학벨트 분산 배치 가능성을 경계하며 충청권 유치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오송과 경쟁체제에 있는 대구첨복단지에 대한 정부 지원 가능성에도 반발했다. 신공항 백지화 후속대책으로 대구 첨복단지(103만㎡) 땅값 인하대책도 거론됐다. 3.3㎡당 50만 원에 불과한 오송 첨복단지(113만㎡)에 비해 대구는 236만 원으로 5배가 비싼 문제를 정부가 150만 원 수준으로 낮춰줄 수도 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대구첨복단지 땅값을 3.3㎡당 150만 원까지 낮추면 오송 1단지와 연계된 오송 2단지, 오송 역세권 개발 등 바이오밸리 조성에 타격을 입을 것으로 우려된다.

충북도의 한 관계자는 “신공항 백지화에 따른 후속대책으로 과학벨트 분산 배치 등에 대한 언급이 없지만 과학벨트 분산 배치 가능성은 상존해 있다”고 밝혔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