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지난 28일 강원도 춘천에선 방사성 제논이 검출된 데 이어 29일에는 서울과 청주 등 전국에 설치된 12개 방사능 측정소 모두에서 방사성 요오드가 검출되면서 한국도 방사능 공포가 갈수록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한반도는 안전하다'는 말만 되풀이하면서 갈팡질팡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보는 도내 방사능 관련 방재시스템 현황을 살펴보고, 전문가들의 진단을 들어본다. /편집자 |
일본 후쿠시마 원전에서 흘러나온 것으로 추정되는 방사성 요오드가 충북 청주를 비롯해 전국 12개 방사능 측정소에서 모두 검출되면서 방사성 물질 오염에 대한 국민의 불안과 우려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30일 청주대 산업과학연구소 산하 청주지방 방사능측정소에 따르면 지난 24일부터 28일까지 5일간 청주에서 채집된 대기부유진 시료를 분석한 결과 0.255m㏃(베크렐)/㎥의 방사성 요오드(I-131)가 검출됐다.
이에 대해 방사능측정소는 이번에 검출된 방사성 물질들은 자연상태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일본 후쿠시마 원전에서 누출돼 캄차카반도와 북극 등을 거쳐 우리나라에 도달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특히 피폭방사선량으로 환산한 결과 일반인의 연간 선량한도 1mSv의 약 20만분의 1에서 약 3만분의 1 수준인 극미량이라 인체에 무해하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당국의 설명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의 불안감은 좀처럼 가시지 않고 있다.
게다가 충북도내 방재시스템이 타 지역에 비해 열악하다는 소식이 속속 전해지면서 시민들의 불안감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실제 교육과학기술부는 일본에서 입국하는 국내공항 5곳 중 유일하게 청주공항에만 장비 및 인력 부족 등을 이유로 방사능 오염 검사기를 설치하지 않아 이용객은 물론 도민들의 불안을 가중시켰다.
결국 지난해 9월부터 주 4회 청주~오사카 노선을 운항했던 대한항공은 다음 달부터 5월까지 수요부족을 이유로 운휴 방침을 내렸지만, 방사능 오염 검사기 미설치에 대한 불만은 여전히 남아있는 상황이다.
이 외에도 도내에는 전국 방사선비상진료기관마다 있어야 할 문(門) 모양의 검사기는 물론 4억 원대의 전신 계측기가 없어 제 역할을 할 수 있는 방사능 관련 방재시스템이 사실상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 박모(45·청주시 상당구 율량동) 씨는 "정부에서 우리나라는 안전하다고 말했지만 결국 방사능 물질이 검출되지 않았냐"며 "인체에 해가 없다고는 하지만 아이들 걱정에 불안감은 사라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박종배 주성대학 보건의료학부 방사선과 교수는 "일본 원전사태가 누그러들지 않고 있는 상황이므로 정부에서도 보다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청주공항 문제만 하더라도 방사선 오염 검사기를 설치해 입국자 전원에 대한 검사를 벌이는 등 시민들의 불안감 해소를 위한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
박한진 기자 adhj7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