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같은 '묻지마 방화'는 자신의 불행이나 불만을 방화로 표출하고 있어 방화 재발방지 대책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가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실제 지난 1월 7일 대전 대덕구 평촌동 한 사무실에서 A 씨는 직장 동료들과 싸운 뒤 휘발유를 바닥에 뿌리고 라이터를 이용, 불을 질렀다.
결국 이 사고로 1명이 사망하고, 2명이 부상했으며, 2500여만 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7월에는 대전 중구 유천동 주택가에서 B 씨가 고의로 가스배관 고무호스를 절단하는 수법으로 불을 질러 1명이 사망하고, 850만 원의 재산피해를 입혔다.
최근에는 취업난이나 고용불안 등 경제위기에 따른 사회적 분위기도 방화심리를 자극하고 있다.
지난 10월에도 대전 유성구 봉산동 주택가에 세워져 있던 포텐샤와 카니발 등 차량 7대가 방화로 불에 탔으며, 지난 17일에는 대전 서구 변동에서 애인과 다툰 후 홧김에 차량 8대에 불을 지른 공익근무요원이 검거됐다.
29일 대전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 2006년 116건에 머물렀던 방화사건은 지난해 221건으로 90.5%가 급증한 데 이어 올해 12월 현재 227건이 발생, 모두 9억 2604여만 원의 재산피해를 입히는 등 지역 내 방화사건은 해마다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해 지역 내 전문가들은 "경제적으로 소외받거나 사회적 약자계층에서 개인적 불만을 방화로 표출하는 사례들이 늘고 있다"며 "이들에 의한 방화는 자칫 숭례문 사건처럼 대형 참사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 대해 지역사회가 관심을 갖고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주요 시설 및 주택가 등에 CCTV 설치 등 가용 가능한 장비와 인력을 최대한 활용해 범죄의 시도 자체를 사전 차단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