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신공항 백지화에 따른 해당지역의 반발을 무마하기 위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 분산 입지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충청권의 반발이 심화되고 있다.

일부 언론매체는 여권 고위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30일 발표될 동남권 신공항 입지평가와 관련해 신공항 백지화의 경우 해당 지역 반발을 달래기 위해 과학벨트 일부를 대구·경북지역에 두는 방안 검토를 보도했다.

동남권 신공항은 대구·경북(TK)에서 미는 밀양이나, 부산·경남(PK)에서 지지하는 가덕도 모두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나올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이에 따른 대응책으로 김해공항 확장으로 PK민심을 달래고, TK에는 과학벨트 일부와 대구첨복단지 분양가를 낮추기 위한 정부 지원방안 등이 검토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같은 분위기가 전해지면서 신공항 백지화에 따른 과학벨트 입지 선정에 미칠 영향에 촉각을 세우고 있는 충청권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나섰다.

민주당 홍재형 의원(청주상당구)은 29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정부가 신공항 백지화에 따른 경북지역 반발 무마용으로 과학벨트를 분산 배치하는 것을 검토하는 데 대해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며 “MB정부의 주특기인 사기극을 재연하는 것이 아닌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홍 의원은 “과학벨트 위치를 다시 선정하라고 대통령이 언급했을 때 이미 신공항 백지화를 결정하고 이를 전제로 중이온가속기를 포항에 설치해 형님벨트로 옮기려 했던 MB정부의 꼼수의 마각이 드러나고 있다”며 “과학벨트가 분산 배치되면 충청권의 분노가 걷잡을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자유선진당은 논평에서 “PK 민심은 김해공항 확장으로 달래고, TK 민심은 과학벨트로 막을 예정이라니 영남권의 대선공약을 뒤집기 위해 21세기 과학한국을 포기할 참인가”라며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겪으면서도 원전이 즐비하고 지진 우려 지역인 포항에 중이온가속기가 들어갈 과학벨트를 둔다는 것은 섶을 지고 불 속에 뛰어드는 격”이라고 주장했다.

자유선진당은 “TK를 달래기 위해 형님지역에 과학벨트를 분산 배치하겠다는 망국적인 발상은 안 된다”며 충청권이 과학벨트 최적 입지임을 강조했다.

과학벨트 대선공약이행 범충청권비상대책위원회도 ‘정부의 동남권 신공항 건설 백지화 결정에 대한 우리의 입장’이라는 제목의 성명에서 과학벨트 분산 배치와 입지선정 시기 연장 등을 우려하며 충청권 입지를 촉구했다.

비대위는 “신공항 백지화 이후 과학벨트를 분산배치시키겠다는 말들이 난무하고, 심지어 선정시기마저 연기 또는 보류될 가능성이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며 “과학벨트 공약 파기는 충청인과 국민에 대한 도전이며 국가사회적 손실로 귀결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비대위는 “신공항이 백지화되면서 과학벨트 입지가 분산될 가능성이 점쳐지는 등 정치적으로 입지 결정이 이뤄질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점에서 현 상황에 대한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도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밝혔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