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동남권 신공항 건설을 사실상 백지화하면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분산배치론이 또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대전시와 과학벨트 대선공약이행 범충청권비상대책위 등 시민사회단체는 동남권 신공항 무산에 따른 불똥이 자칫 과학벨트로 튀는 게 아니냐며 강한 우려감을 표명하고 있다.
염홍철 대전시장은 29일 ‘특정지역 민심달래기용 과학벨트 분산배치는 역사적 과오가 될 것’이라며 “최근 과학벨트 분산배치론이 거론되는 데 대해 500만 충청인과 더불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지 않을 수 없다”고 경고했다.
염 시장은 이날 동남권 신공항 반대급부로 과학벨트 분산배치가 거론되는 것과 관련, “정부는 더 이상의 소모적인 논쟁을 중단하고, 조속한 시일 내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을 확정 발표할 것을 촉구한다”며 이 같이 표명했다.
특히 “(과학벨트 분산배치론이) 기정사실화 된다면 과학벨트 조성사업은 과학강국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충청권을 희생양으로 삼는 나눠주기식 졸속사업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한 후, “정부는 더 이상의 오해가 없도록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를 조속히 결정하라”고 역설했다.
과학벨트 대선공약이행 범충청권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상대책위)도 이날 ‘정부의 동남권 신공항 건설 백지화에 대한 우리의 입장’이란 논평을 통해 “행정도시(세종시)와 과학벨트에 이어 동남권 신공항 건설까지 정권을 위한 사기 도구로 활용되면서 정부정책과 국책사업은 파탄이 나고, 현 정권의 도덕성과 신뢰도를 급추락하고 있다”며 “정부의 이 같은 국민 무시는 당장 4월 재보궐선거에서 참혹한 심판을 받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비상대책위는 또 “벌써부터 영·호남을 달래기 위해 과학벨트를 분산입지 시키겠다는 말들이 난무하는 등 이번 신공항 입지선정 백지화 불똥이 과학벨트에 튀지 않을까 우려된다”면서 “지역갈등과 국론분열로 인한 국가적 혼란사태를 극복하고 국정신뢰를 회복하는 것은 오로지 대선공약대로 이행하는 것 뿐”이라고 강조했다.
비상대책위는 또 “이 같은 사태에 대해 한나라당 대선 유력후보인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과학벨트 문제는 대통령이 책임져야 한다’는 원론적인 입장만 언급했을 뿐, 구체적인 발언을 하지 않고 있다”면서 “박 전 대표는 500만 충청인들이 납득할 수 있는 분명한 입장을 밝히라”고 촉구했다.
나인문 기자 nanews@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