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충남대 육동일 교수 자료 제공 |
충청권은 역대 대선에서 당락을 결정지었지만, 영호남과 비교해 정부 주요 공직 인선에선 소외됐고 대선 공약 불이행 등 무시와 홀대를 받아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주장은 28일 충남대 정심화 국제문화회관에서 열린 새한국충청포럼 창립 기념 세미나에서 발제자로 나선 충남대 육동일 교수(자치행정학과)가 분석한 역대 대선에서의 충청권 표 분석과 역대 정부의 장·차관급 인사 출신지역 현황 등을 통해 확인됐다.
그동안 지역에서 되풀이돼 언급되던 ‘충청 홀대론’과 ‘충청 소외론’이 재확인된 셈이다.
육 교수의 ‘충청권의 위기와 도전, 그리고 과제’라는 제목의 발제문에 따르면 충청권은 1992년 14대 대선 당시 민자당 김영삼 후보를 지지해 당선으로 이끌었다.
또 1997년 15대 대선에선 국민회의 김대중 후보의 손을 들어줬고, 2002년 16대 대선 역시 민주당 노무현 후보에게 투표의 50% 이상을 몰아줬다. 15대와 16대 대선에서 1위와 2위 간 표차는 각각 1.8%(30여만 표)와 2.4%(57만여 표)로 박빙의 승부를 펼쳤다. 당시 충청지역에서의 1위, 2위 간 표차가 38만 표와 25만 표였다는 점에서 당락이 충청권에서 갈렸다는 것이 학계의 분석이다.
2007년 17대 대선 역시 충청권은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에게 30~40%대의 압도적인 지지를 보내 당락을 결정지었다.
그러나 역대 정권은 장·차관급 고위인사 기용에서 충청권을 소외시켜 왔다는 것이 육 교수의 주장이다.
그는 “정치엘리트 충원에서 영남출신의 박정희 정부부터 김영삼 정부까지 충청권은 호남권과 비슷한 비율을 보였지만, 호남출신의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에서는 격차가 크게 벌어지고 있고, 영남출신의 이명박 정부에서도 호남에 비해 차별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역대 정부의 정치엘리트 출신지역 분포를 살펴보면 충청출신은 △이승만 정부 17.5% △박정희 14.0% △전두환 12.5% △노태우 12.0% △김영삼 16.0% △김대중 15.9% △노무현 11.4% △이명박 14.9%였다.
반면 영남출신은 최하 17.8%(이승만 정부)에서 최고 55.4%(전두환 정부)까지 기용됐고, 호남출신은 최하 5.0%(이승만 정부)에서 최고 30.1%(김대중 정부)까지 정부요직을 차지했다.
이명박 정부의 주요 기관(청와대·장차관·4대 권력기관)별 고위 공직자 출신지 비교에서도 영남은 36.5%를, 호남은 18%를 차지하고 있지만, 충청은 14.3%에 머물고 있다.
이 같은 충청인사 소외와 함께 세종시 원안 건설 및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대선 공약 백지화 등 충청을 홀대하는 충청권은 허탈감을 넘어 분노 표출 직전에 도달했다고 육 교수는 분석했다.
육 교수는 “충청지역에 닥친 이 같은 현상은 일시적인 것이 아닌 오랜 기간 누적된 결과이며 앞으로 지속될 것이라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라며 “현 정부와 정치권을 탓하기에 앞서 정권 창출의 보조자나 동반자 역할에서 벗어나 권력의 주체로 결집 단합해야만 그 동안의 패배주의와 피해의식을 끝낼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