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용호 충남대 총장(왼쪽부터), 이주호 교과부 장관, 서만철 공주대 총장, 전우수 공주교대 총장이 28일 공주대 본관 대회의실에서 통합 추진 및 세종시 융복합캠퍼스 구축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을 맺은 후 손을 맞잡고 있다. 김호열기자 kimhy@cctoday.co.kr  
 

28일 대학 간 통합 추진에 합의한 충남대·공주대·공주교대 핵심 관계자들은 통합대학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담당할 대학본부 위치와 관련 "3개 대학 구성원들과 합의해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교육과학기술부에 통합계획서를 제출하기 전에 각 대학별로 재학생들에게 통합과 관련된 의견을 반드시 묻겠다는 방침도 표명했다.

다음은 충남대 신희권·공주대 배용수·공주교대 이범웅 기획처장과의 일문일답.

-통합과 관련 최대 쟁점은 통합대학 본부 위치다. 앞으로 3개 대학 구성원을 만족시킬 수 있는 합의안을 어떻게 절충해 나갈 것인지.

"일부에선 대학본부 등의 위치를 확정해 놓고 통합을 추진하는 것 아니냐고 하는데, 아직까지 확정된 바 없다. 각 대학들이 선호하는 곳이 있을 것이다. 3개 대학 구성원들과 협의해서 결정해 나갈 것이다.”

-충남대와 공주대는 학과 등 중복되는 분야가 많다. 통합 추진 과정에서 어떻게 구조조정하고 합리적으로 배치할 것인지.

"캠퍼스별 특성화와 구조조정 등은 앞으로 논의해야 할 사안이다. 오히려 중복됐다는 것이 통합의 성과가 된다고 볼 수 있다. 구조조정은 구성원들과 논의를 통해 합리적인 방안을 모색해 나갈 생각이다."

-재학생들의 의견은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

"현재는 정책이 형성되는 과정으로 학생들이 배제되고 교수와 직원을 상대로 3개 대학이 동일한 방법으로 의견을 수렴했다. 정책결정 수요자인 학생들에게는 교과부에 통합계획서를 제출하기 전에 반드시 물을 예정이다. 통합은 학생들이 수요자이고 이에 따른 유불리 문제가 대두될 수 있어 반드시 절차를 밟을 것이다."

-각 대학 총장들이 임기만료 전 성과를 내기 위해 통합을 추진한 것이 아니냐는 얘기가 있다.

"그렇게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역설적으로는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이번 통합의 성사 가능성이 높다고 말할 수도 있다. 충남대, 공주교대의 총장 임기가 내년 1월로 두 대학의 임기가 끝나가는 시점으로 통합 논의가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될 수 있다. 통합계획서가 정부에 수용돼 2년 정도 지원을 받았을 때 지속적인 사업수행이 가능하다. (통합추진을)내년부터 할 경우 현 정부의 임기와 맞지 않는다. 세종시를 비롯해 여러 가지 추진상황과 현 정부의 임기 등을 고려해서 (통합추진 시기를) 결정한 것이다."

-세종융복합캠퍼스에 들어설 융복합관련대학과 글로벌교원양성대학은.

"글로벌교원양성대학은 해외교육과 관련 인력 송출에 대비하기 위해 국제적인 마인드를 가진 교원을 양성하기 위한 것이다. 교육전문대학원과 통번역대학원 등을 입지시킬 계획이다. 융복합관련대학은 학과를 신설하는 것으로 융복합학과중심대학과 공공정책대학원 등까지 포함돼 있으며 현재는 구상단계에 머물러 있다."

-충남대는 교수회와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데 교수회와 의견 조정은.

"학교 내에서는 단일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임시기구 구성을 모색 중이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공주=이성열 기자 lsyyy@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