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세종시와의 상생발전을 위해 도청 실·국과 각 시·군을 대상으로 사업 발굴에 나섰으나 단 한 건의 사업도 접수되지 않았다.

도는 지난 7일 세종시와 상생발전을 위한 사업발굴을 위해 도내 각 실·국과 16개 시·도를 대상으로 산업을 비롯해 관광·농어촌·사회간접자본(SOC)·과학기술 분야 등을 총망라한 사업안을 28일까지 제출해 달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단 한 건의 사업안도 접수되지 않아 도의 세종시 상생발전 사업계획에 차질이 우려된다.

도 세종시특별자치시 출범실무준비단에 따르면 이번 상생발전 사업 발굴 조사 결과에 따라 4월 중에 상생발전 기본계획 수립 및 보고회를 갖고 연구용역발주 등 세부추진방안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또 12월 중으로 최종 계획을 수립·수행하는 등 도와 세종시 간 상생발전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한다는 방침이었다.

하지만 실·국과 각 시·군의 무관심 속에 이러한 준비단의 계획은 전면 중단될 위기에 몰렸다.

이에 세종시 특별법이 지난해 12월 27일 원안으로 확정됐지만 3개월이 지나도록 도 차원의 세종시 상생발전을 위한 기본 방향 자체가 수립되지 않았다는 비난이다.

게다가 출범실무준비단이 발족한지 한 달이 돼 가는 상황인데도 그동안 업무를 담당했던 도청이전본부로부터 업무를 정식으로 인수받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빈축을 사고 있다.

이와 관련 출범실무준비단은 올해 3월 1일 준비단이 발족함에 따라 어떤 테마로 어떻게 나가야 할 것인가 등에 대한 기본적인 준비가 안됐으며 시·군의 경우 갑자기 상생발전 사항을 준비하려니 어려움이 있다는 설명이다.

준비단은 이에 3월말까지 발전안을 제출해 줄 것을 구두로 전달하는 등 빠른 시일 내에 계획안을 도출 할 것이란 주장이다.

하지만 공식적으로 상생발전안을 위한 업무 협조를 요청했음에도 단 한 건도 접수되지 않았다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도 관계자는 “세종시 관련 업무가 너무 큰 과제이며 출범 기간도 충분하지 않아 도청이전본부로부터 인수인계 절차가 아직 진행되지 않았다”며 “무엇보다 우리 실무준비단 차원을 넘어 도정 전체의 접근이 필요한 사업으로 도 차원의 상생발전 가이드 라인이 나오지 않을 경우 공허한 메아리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