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지역 최대 현안사업인 청주테크노폴리스(이하 청주TP) 조성 사업이 기약없는 탁상공론에 또다시 지지부진하고 있다. 충북도는 청주TP~오창산단 간 도로 구축사업을 올 하반기 발주키로 하는 등 박차를 가하고 있는 반면 정작 청주시와 참여업체는 개발면적 축소와 단계별 개발계획에 따른 세부계획을 두고 이견차를 좁히지 못하며 사업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28일 충북도에 따르면 지난 2008년 8월 지정된 청주TP의 당초 지정면적 326만 3000㎡를 123만 2000㎡로 축소 조정해 최근 국토해양부에 제출했다.

이는 국토부가 산업단지 공급과잉이 우려됨에 따라 광역자치단체에 신규지정 자제 통보와 함께 국비 지원 중단 조치 등을 취하겠다는 입장을 제시한데 따른 후속조치다. 아울러 국비 1000억 원 가량이 투입돼 오는 2014년 완공을 목표를 하고 있는 청주TP~오창산단 간 3.8㎞ 도로 구축사업을 올 하반기 발주하기 위한 선행작업의 일환이다.

하지만 정작 사업주체인 청주시는 개발면적을 축소한 뒤 사업을 진행하자는데 주주사들의 의견을 모았을 뿐 구체적인 축소면적에 대한 이견차를 좁히지 못해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대출시기, 보상시기 등에 대한 '타임 스케줄'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좀처럼 나아지지 않는 부동산 경기에 1단계 착수 면적을 최소화하려는 참여업체와 달리 이보다 개발면적을 늘리려는 청주시간 신경전이 수개월째 이어지고 있다는 후문이다.

당초 계획대로라면 늦어도 올 1월을 전후해 세부계획을 세우고 실시설계 수정을 거쳐 PF 대출시기까지 나왔어야할 사업추진 일정이 불투명하다보니 지역 곳곳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우선 지난해 말 시로부터 20억 원 가량의 자금을 긴급수혈받은 ㈜청주테크노폴리스 자산관리의 경우 올 연말이면 또다시 자금소진이 예상돼 정상적인 운영을 위해선 연내 PF 대출만이 유일한 활로다. 또 청주TP 조성사업이 차질없이 추진될 것이란 전제하에 청주TP~오창산단 간 도로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충북도의 경우도 청주시가 조속히 실시계획 등을 마련해야만 해당사업의 정상추진이 가능하다.

㈜청주테크노폴리스 자산관리 관계자는 "이사회가 개발면적 축소와 단계별 개발계획에 동의를 한만큼 실무차원에서 축소면적 등 세부계획이 마련돼야 한다"며 "특히 연내 PF 대출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선 6월 전까지 사전작업을 모두 마무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지역 경제계 한 인사는 "지역경제의 사활과 개발지역 주민들의 재산권 침해 시비 등이 우려되는 만큼 불필요한 신경전은 자제해야 한다"며 "특히 이럴 때일수록 정책수립자의 과감한 결단력과 추진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참여업체들과 축소면적을 두고 이견차를 좁히지 못해 협의가 길어지고 있다"며 "이번 사업을 계속 추진해야 한다는 주주사들의 의지는 변함이 없는 만큼 조만간 원만한 협의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청주시와 ㈜신영, 대우건설, 산업은행 등이 컨소시엄으로 총사업비 1조 2087억 원을 들여 흥덕구 향정동, 외북동, 송절동 일대 334만9000여㎡에 추진할 예정인 청주테크노폴리스 조성사업은 오는 2015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PF 대출이 이뤄지지 않아 개발면적 축소를 결정하는 등 자구책을 모색해오고 있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