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무분별하게 벌여놓은 각종 개발사업을 축소하거나 취소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해당지역 주민들은 자신들까지 빚더미에 오르게 됐다며 반발수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은 충청권 전역을 비롯해 전국적으로 집단반발이 예상되고 있으며 LH와 주민간 갈등의 골은 더욱 깊어질 전망이다.

◆LH, 사업철회 잇따라

LH는 사업이 무기한 늦어지고 있고 사업추진에 반대하는 주민이 늘면서 지방자치단체와 주민들 의견을 받아들여 지구지정해제를 국토해양부에 요청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27일 국토해양부와 LH에 따르면 최근 주민의견을 수렴한 결과 경기 오산 세교3지구 사업 철회를 결정했다.

신도시 예정지에 대해 사업 철회를 공식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LH는 지난달에는 도시개발사업인 천안 매주사업과 택지개발 예정지인 충남 서산석림2에 대한 지구 지정을 해제한 바 있다.

LH는 또 이달 31일 열리는 중앙도시계획심의위원회에서 충남 아산 탕정2단계 1762만 ㎡ 가운데 아직 보상이 진행되지 않은 아산지역 1246만 ㎡의 지구지정을 해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원 현도지구 “차라리 사업철회를”

LH의 사업축소나 철회가 잇따르자 사업철회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충북 청원 현도보금자리사업지구(8731세대)에 대해서도 주민투표에 따른 사업철회 결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 지역은 LH가 수년째 구체적인 사업방향이나 사업여부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고 있어 불만이 극도로 고조돼 있다. 이 때문에 보상을 예상한 일부 주민들이 대토(대체토지) 등을 위해 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아 빚더미에 오르거나 대출금 미상환에 따른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도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오낙균(55) 주민대책위원장은 “지난해 주민들 가운데 60~70%가 사업철회를 요구하는 내용을 LH에 통보하기도 했다”며 “하지만 국민임대지구에서 보금자리주택지구로 사업이 변경되면서 LH가 정부의 눈치를 보느라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수년 째 농로와 축사가 망가져도 수리를 하지 못할 정도로 개발이 묶여 재산권 행사를 전혀 하지 못하고 있다”며 “지칠 대로 지친 주민들은 보금자리주택사업에 대해 대부분 반대입장”이라고 못박았다. 이에 대해 LH 관계자는 “주민반대가 있는 지역은 주민설명회 등을 통해 LH와 협의하고 있다”며 “지역별로 주민의견을 수렴해 70~80% 사업취소를 원하는 지역은 국토부에 철회를 요청하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박한진 기자 adhj79@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