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입지 선정이 다음 달부터 시작되는 가운데 지자체 간 유치경쟁이 가열되고 있다. 특히 과학벨트 입지 선정 이후 지역 실리찾기에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다음달 5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시행에 따라 정부는 입지 선정에 착수할 예정이다. 입지 선정이 임박해오면서 충청권이 대선공약 이행을 촉구하며 정부를 압박하고 있고, 다른 지자체의 유치 활동도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충청권은 지난 23일 국회의사당 앞 광장에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사수 결의대회를 여는 등 연일 충청권 입지 대선공약 이행을 촉구하고 있다.
충북은 충청권과 공동대응 차원에서 서명운동에 돌입하고, 관련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보조를 맞추고 있다.영·호남권 지자체도 과학벨트 지역 유치 활동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으며, 광주시는 내륙삼각벨트론을 내세우며 분산론 확산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런 가운데 과학벨트 입지 선정과 관련해 과학벨트위원회 당연직위원이 영남지역 인사들로 채워져 공정성 논란이 제기되는 등 후유증을 예고하고 있다. 정부가 입지 재선정을 발표한 이후 충청권과 영·호남권의 유치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면서 대선공약인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 선정이 주목되고 있다.
과학벨트 입지 선정이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되면서 충북 실리찾기를 위한 대비책 강구 필요성이 나오고 있다. 지역실리론은 충청권 공조체제에서 들러리 가능성에 따른 것으로, 분산배치 등 모든 경우의 수를 놓고 사전에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역실리론은 당초 지역 여당이 적극적으로 주장했으나 최근에는 야당 일각에서도 실리론에 공감하는 분위기다.
한나라당은 과학벨트의 충청권 유치 공조에 따른 들러리를 경계하며 지역실리론을 거론했다. 반면에 민주당은 과학벨트의 충청권 유치 사수라는 충청권의 공조에 적극 나섰다. 충청권 유치는 세종시를 거점지구로 하고 오송·오창의 기능지구 구상이다.
그러나 지역 실리론이 설득력을 얻으면서 민주당 일각에서 충청권 공조에 따른 들러리 가능성에 대비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민주당 소속 충북도의회 모 의원은 “과학벨트가 충청권에 유치되도록 충남, 대전과 공동보조를 맞추고 있지만, 들러리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민주당 소속 도의원은 “과학벨트의 핵심시설인 중이온가속기는 안정적인 기반이 필수적으로 세종시 주변지역이 적합하다”며 “입지선정 과정과 선정 이후 상황 변화, 지역 실리를 따져서 적극 대처해줄 것을 집행부에 주문했다”고 밝혔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