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동북부 지진과 쓰나미에 따른 방사능 누출사고 이후 일본발 입국자 중 80%가 방사능 오염 검사 없이 입국해 2차 오염에 사실상 무방비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선진당 권선택 의원은 27일 일본 원전 누출사고 이후 국내 공항과 항만의 방사능 검사 장비가 부족해 피폭장비 구축과 전문인력 배치가 시급하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소속 권 의원은 이날 “일본 후쿠시마 원전 폭발사고로 방사능 피폭에 대한 공포가 커져가고 있지만, 정부는 피폭검사 장비 설치 및 운영에 대해 매우 안이하게 대응하고 있다”고 우려를 강하게 표했다.
권 의원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3월 17일부터 일본발 입국자에 대해 희망자에 한해 방사능을 측정하고 있어, 정부의 부실 검사에 따른 국내 피해 발생 가능성을 제기했다.
실제로 인천공항의 경우 지난 17~20일까지 4일 동안 전체 일본발 여객대비 수검 여객숫자는 고작 18.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천공항과 김포공항 등 국제공항의 경우 일본발 입국자가 많지만 방사능 감시기가 2대 만이 운영되고 있고, 김해·제주공항은 감시기 1대, 청주공항은 오사카 노선 밖에 운항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감시기가 설치조차 되어있지 않은 상황이다. 여객터미널의 경우 상황이 더욱 열악해 부산여객터미널은 방사능 감시기가 1대 설치되어 있고, 광양만 여객터미널은 휴대용 방사능 감시기가 2대 설치된 게 전부다.
권 의원은 이에 대해 “(방사능 검사가) 자발적 검사에 의존하고 있는데다가, 국제공항 및 여객 터미널 마다 방사능 감시기가 겨우 1-2대 밖에 설치되어 있지 않아 전체 입국자 가운데 수검여객 숫자는 1/5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