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순국 46용사 1주기 추모식이 지난 26일 오전 국립대전현충원 현충광장에서 엄수됐다.

이날 추모식은 국가보훈처 주관으로 이명박 대통령을 비롯해 정부요인, 전사자 유족, 천안함 승조원, 군인, 각 자치단체장, 시민, 학생 등 3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엄숙한 분위기 속에 치러졌다.

추모식은 식전행사로 해군 중창단의 합창공연에 이어 국민의례, 영상물 상영, 묵념, 헌화·분향, 추모사, 추모공연 순으로 진행됐다.

특히 5분가량의 추모영상물에는 천안함 46용사와 고 한주호 준위 등 47명의 전사자 영정이 대형 화면에 나타나면서 이름이 일일이 호명됐고, 이를 지켜보던 유족들은 그리움에 눈물을 훔쳤다.

영상물 상영이 끝난 뒤 군악대와 헌화곡, 나팔수의 진혼곡이 연주되는 가운데 이 대통령과 유족대표, 정부 요인, 정당 대표, 군 주요 인사와 천안함 승조원 등의 순으로 현충탑 앞에 마련된 46용사와 한주호 준위 영정에 헌화·분향했다.

추모식에서 박승춘 국가보훈처장은 “지난 1년간 대전현충원을 찾은 유족들의 아픔은 무엇으로도 덜어드릴 수 없다”며 “아직까지 깊은 상처가 남아있음을 우리 국민은 잘 알고, 오늘 그 아픔을 함께 나누고자 한다”고 지난 1년의 의미를 되새겼다.

이어 천안시립합창단과 해군중창단의 추모공연에서는 ‘님이시여’, ‘전우’ 등의 노래에 맞춰 해군 중창단의 진혼무 공연이 진행됐다.

추모식에 앞서 이 대통령은 유족들과 다과회를 가졌으며, 고 이용상 하사의 아버지 이인옥 씨, 고 민평기 상사의 어머니 윤청자 씨, 한 준위의 부인 김말순 씨 등 유족 대표 3명과 함께 46용사와 한 준위의 묘역에 참배하고 묘역을 둘러봤다.

행사가 끝난 뒤 참석자와 유가족들은 사병 제3묘역에 마련된 천안함 특별 묘역을 찾았고, 다시금 떠오른 고인 생각에 묘비를 부여잡고 목놓아 이름을 부르기도 했다.

국가보훈처 관계자는 “천안함 46용사와 한주호 준위의 고귀한 희생과 공훈을 기리고 계승해 국민통합의 정신적 원동력이 되도록 정부 차원의 행사로 추모식을 거행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조재근 기자 jack333@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