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북 지역 8개 선거구에서 치러지는 4·27 재선거가 채 한 달도 남지 않으면서 초읽기에 돌입했다. 그러나 여야 각 당은 전열 정비도 끝내지 못했고, 유권자들의 무관심도 심각해 후보자들만 열을 올리는 ‘그들만의 리그’로 끝날 공산이 커지고 있다. 그나마 규모가 있는 태안군수 재선거의 경우 실시 여부가 지난 24일 대법원 판결로 확정되면서 여야 각 당은 후보조차 확정하지 못한 상태다.

정당들은 기초의원 재선거를 위해 이미 구성돼 있는 공천심사위원회를 통해 태안군수 후보를 공천한다는 계획이지만, 서류심사와 면접, 중앙당 최고위 의결 등의 절차를 밟기 위해선 최소 일주일 이상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에 유권자들은 태안군수 후보에 대한 제대로 된 정보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투표를 해야 하는 ‘날림 선거’로 전락할 우려가 크다.

기초의원 재선거 분위기는 더욱 냉랭한 형편이다.

대전 대덕구 나선거구, 충남 보령시 가선거구, 서천군 가선거구, 연기군 다선거구 등 4곳에서 기초의원 재선거가 열리지만, 이들 지역의 유권자 대부분은 선거 실시 여부조차 모르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여기에 역대 재보궐선거 투표율이 20~30%대로 극히 저조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번 4·27 재선거 역시 무관심 속에 치러질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지난 2007년 있었던 대전 중구 나선거구와 서구 다선거구 재보궐선거에선 각각 22.1%와 20.5%라는 낮은 투표율을 기록했다.

이 같은 유권자들의 무관심과 늦어진 공천의 틈을 비집고, 일부 후보자들은 일반 유권자들을 대상으로 한 선거운동 보다는 각종 인맥을 동원한 ‘조직 선거’로 선거전략을 구상하는 모습도 감지되고 있다.

기초의원에 출마한 한 후보는 “일반 유권자들이 투표를 하지 않아 투표율이 낮아진다면 결국 몇 백 표나 몇 천 표로 당락이 갈릴 수 있다”라며 “당의 지원을 받거나 평소 관리해 오던 조직을 총동원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또 다른 후보는 “낮에는 지인에게 전화로 지지를 부탁하고 저녁에는 지역 모임을 찾아다니는 방식으로 선거운동을 하고 있다. 표를 가진 사람을 누가 더 많이 아느냐의 싸움이 될 것 같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현직 국회의원들과 내년 총선을 준비 중인 예비주자들이 소속 정당 기초의원 후보에게 조직을 동원해 주는 등 지원 사격에 나선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일부 지역에선 내년 총선을 향한 ‘대리전’ 양상도 벌어지고 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