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가 예산낭비가 우려되는 용역과제에 대해 대폭 수정을 가했다.
시는 24일 시청 소회의실에서 용역과제심의위원회를 갖고 올해 제1회 추가경정예산에 반영할 용역과제 총 25건 중 16건을 가결했다.
이날 가결된 용역과제 16건 가운데 11건은 기술용역인 반면 실효성 논란을 불러온 학술용역은 5건만 심의회를 통과했다.
세부적으로 △한국형 탄소제로 시범 주거단지 조성(건축디자인과, 4억 1000만 원) △중앙공원 확충 타당성 용역(공원녹지과, 1억 원) 등 2건은 중복 내지는 필요불충분으로 부결됐다.
또 △녹색수도 청주의 브랜드 전략적 홍보용역(기획예산과, 7000만 원) △청주시 제1차 지역에너지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경제과, 5000만 원) △무심천 수변경관지구 관리방안 연구용역(도시계획과, 1억 2000만 원) △보행네트워크 기본구상 연구용역(도시계획과, 1억 원) △청주 도시재생 기본계획 수립용역(도시재생과, 10억 원) △녹색수도 공원녹지관리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연구용역(공원녹지과, 5000만 원) △공원·녹지 공간정보 고도화시스템 구축(공원녹지과, 2억 8000만 원) 등 7건은 시기 미도래 등으로 향후 재심의키로 했다.
이밖에 시의회 의견청취 과정에는 포함됐던 △문화재전시관 건립 타당성 및 선도마을 활용방안 연구용역(주민복지과, 5800만 원) △KT&G부지 활용방안 기본구상 연구용역(도시개발과, 1억 5000만 원) 등 2건은 해당부서의 철회로 심의회에 상정되지 않았다.
시 관계자는 “이번 용역과제 심의를 통해 예산 낭비요인을 사전에 제거함으로써 시 재정의 건전한 운영을 도모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올해부터 용역과제심의위원회 개최 이전에 용역과제의 필요성 및 타당성에 대해 정책조정회의를 여는 등 사전절차를 대폭 강화했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