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주 성안길 입구에 세워진 청주읍성 북문터 표지석.
이덕희 기자 withcrew@cctoday.co.kr
 
 

청주시가 한범덕 시장 공약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는 '청주읍성 복원사업'을 두고 실효성 논란이 일고 있다.

최근 시는 일부지역에 대한 발굴조사를 추진키로 한데 이어 지구단위계획수립을 위한 용역발주까지 가시화하고 있지만 해당지역 토지·건물주들을 중심으로 적잖은 반발이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24일 시에 따르면 청주도심의 중요한 역사적 명소인 옛 청주읍성의 이미지재현을 통해 천년고도의 역사적 정체성을 회복하고 관광자원 개발로 도심활성화를 촉진한다는 취지로 청주읍성 복원사업에 착수키로 했다.

한 시장의 공약사업이기도 한 이 사업을 위해 시는 복원자료 축적 차원에서 올해 8000만 원을 들여 현재 도로로 사용되는 서문(청추문) 30m 구간에 대해 1차 발굴조사를 벌일 계획이다.

또 올해 추경에는 6억 원의 예산을 반영해 청주읍성지구의 지나친 개발을 제한하기 위한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및 지구단위계획 수립 용역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시는 발굴조사 결과를 토대로 성문이나 성곽 복원계획을 세우는 한편 시유지 등을 우선 복원한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청주읍성 복원을 위한 시의 작업의 구체화될수록 기대감보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지역의 상징성에는 공감을 하지만 지역 최대 번화가에 위치한 청주읍성 복원을 위해선 천문학적인 예산투입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예산대비 기대효과를 크게 못미친다는 것이다.

일각에선 일부 학계와 시민단체의 요구만으로 사업이 성급하게 추진되는 것은 아닌지 의문을 나타내고 있다.

실례로 일부 학계에서는 지역의 상징성 제고를 위해선 북문을 먼저 복원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론 3.3㎡당 1000만 원(공시지가 기준)을 호가하고 토지보상금과 대형건축물이 즐비한 번화가 중심이라는 위치를 고려했을 때 실제 복원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토지 소유주와 상가 건물주의 반발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실제 최근 시가 청주읍성 복원을 전제로 계획중인 청주읍성지구 지구단위계획수립 소식이 전해지자마자 재산상 불이익을 우려하는 토지소유주와 상가 건물주들의 반발이 감지되고 있다.

성안길 내 한 건물주는 "실체도 모르는 청주읍성을 복원하겠다고 지구단위계획을 세우고 개발제한을 두면 가만있을 사람이 어디 있겠느냐"며 "천문학적 돈이 들게 뻔한데 또 지구단위계획만 세워두고 실제 복원작업은 차일피일 미루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이같은 우려 때문에 지구단위계획수립 용역의 예산반영이 의회를 무사히 통과할 지도 의문이다.

앞서 김영근 의원은 의회의 용역과제 의견청취 과정에서 "막연한 사업에 충분한 검토없이 지나치게 많은 예산이 투입된다"며 부정적 입장을 견지하기도 했다.

한 지역인사는 "시의 계획대로라면 10년이 걸리지 20년이 걸릴 지도 모르고, 그 마저도 될지 안될지도 모르는데 혹시라도 단체장 교체 후 사업이 중단되지 않는다는 보장도 할 수 없는 것 아니냐"며 "시장 공약사업이라도 무조건 실행에 옮기는 게 아니라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인사는 또 "성벽 또는 성문 복원만으로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한다는 사업목적도 사실 와닿지 않는다"며 "오히려 지역성을 살릴 수 있는 캠페인이나 홍보활동을 통한 공감대 형성이 우선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현재는 시장공약사업으로 기본계획만 있을 뿐 구체적인 복원계획은 올해 발굴작업이 마무리된 후에 마련될 것이기 때문에 확실히 결정된 사안은 없다"고 설명한 뒤 "지구단위계획수립은 지나친 개발로 복원작업이 불가능해질 것을 미리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라고 말했다.
전창해 기자 widesea@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