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LH(한국토지주택공사)의 대전·충남지역 신규사업지구 24곳에 대한 구조조정 윤곽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본보 3월 22일 1면 보도>24일 LH 대전충남본부에 따르면 보상 미착수로 사업조정 대상에 오른 관내 사업지구는 24곳으로, 이 가운데 주거환경개선사업 5곳, 택지개발사업 5곳, 주거지역 개발 6곳 등에서 이미 지구지정을 해제했거나 해제를 검토 중이다.

주거환경개선사업지로 선정된 대전 6곳과 충남 1곳은 사업승인과 지장물조사까지 마친 대전 대신2구역 1곳만 5년이내에 사업을 착수키로 했고, 나머지 천동3구역과 효자구역, 대동2구역, 구성2구역과 충남 홍성의 오관구역 등 5곳은 5년 이내에 사업을 착수하기 어렵다는 방침을 주민들에게 전달했다.

LH 대전충남본부는 오는 29일 소제구역을 찾아 지역 주민들에게 5년 이내에 사업을 착수하기 어렵다는 방침을 전달할 계획이다.

또 택지개발사업 가운데 천안 매주(26만 4000㎡), 서산 석림2(23만 9144㎡) 등 2곳에 대해서는 지구지정을 해제했고, 천안 신월지구(6만 6000㎡)·성환지구(4만 3000㎡), 당진 우두지구(7만 8000㎡) 등 3곳에서 추가로 지구지정 해제를 해당 자치단체 등과 협의 중이다.

이 가운데 천안 신월, 성환 지구는 재산권 제약 등의 문제로 지구지정 해제를 요구하는 주민들의 민원이 여러차례 제기돼 왔던 곳이다.

주거지역 개발사업의 경우는 당진 합덕과 보령 동대3, 서산 예천3, 태안 평천3, 홍성 소향, 부여 규암2지구 등 6곳 모두 사실상 신규로 사업 추진이 어려울 것으로 보고 주민 의견을 수렴 중이다.

일부 사업지구에서는 이미 개발지구 해제를 위한 주민 동의서를 받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장항국가생태산업단지나 대덕 R&D특구 2단계, 황해경제자유구역 등 대규모 산업단지 개발은 여전히 추진 일정이 불투명한 상황이어서 주민이나 해당 자치단체들의 반발을 사고있다.

특히 주거환경개선사업 사업추진이 사실상 무기 결정된 천동3구역을 비롯해 대전지역 5곳은 주민들로부터 거센 불만의 항의가 이어지고 있어 향후 주민들과 LH간에 마찰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LH 대전충남본부 관계자는 "사업 장기화에 따른 주민들의 피해가 있을 수 있어 이른 시일내에는 사업추진이 어렵다는 점을 주민들에게 알리면서 이해를 구하고 있는 것"이라며 "현재의 자금 형편으로는 진행중인 사업을 유지하기도 어려워 당분간 새로운 사업에 나서기가 어려운 실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사업장별로 주민과 자치단체 등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해 최선의 해결 방안을 찾아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호창 기자 hclee@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