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규모 6.5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헌철 박사는 23일 서울 과학기술회관에서 ‘한반도 지진과 원자력 안전’을 주제로 열린 포럼에서 “우리나라의 역사적 기록이나 지체 구조 등에 미뤄 규모 6.5 이상의 지진도 가능하지만, 7.0 이상의 지진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날 지 박사는 우리나라가 지질학적으로 중국 탄루 단층대와 여러 판 경계가 겹쳐 있는 일본 열도 사이에 놓여 있어 강진 가능성이 적다고 설명했다.
이는 우리나라는 그 힘의 영향을 받더라도 상대적으로 에너지가 축적될 여지가 적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우리나라에서 강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까닭은 과거 역사적 기록이 남아있기 때문이라는 것이 지 박사의 분석이다.
실제 조선 승정원일기에는 1643년 7월 울산 동쪽에 큰 지진이 일어났으며, 현재 분석으로 이 지진의 규모는 7~9로 추정된다는 것. 또 지 박사는 과거 일본이나 중국에서 강진이 발생할 경우 1~10년 안에 우리나라에도 지진이 발생했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이 경우 지진 발생 가능성이 가장 큰 지역으로는 추가령·옥천·양산 단층 부근이 지목됐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헌철 박사는 23일 서울 과학기술회관에서 ‘한반도 지진과 원자력 안전’을 주제로 열린 포럼에서 “우리나라의 역사적 기록이나 지체 구조 등에 미뤄 규모 6.5 이상의 지진도 가능하지만, 7.0 이상의 지진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날 지 박사는 우리나라가 지질학적으로 중국 탄루 단층대와 여러 판 경계가 겹쳐 있는 일본 열도 사이에 놓여 있어 강진 가능성이 적다고 설명했다.
이는 우리나라는 그 힘의 영향을 받더라도 상대적으로 에너지가 축적될 여지가 적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우리나라에서 강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까닭은 과거 역사적 기록이 남아있기 때문이라는 것이 지 박사의 분석이다.
실제 조선 승정원일기에는 1643년 7월 울산 동쪽에 큰 지진이 일어났으며, 현재 분석으로 이 지진의 규모는 7~9로 추정된다는 것. 또 지 박사는 과거 일본이나 중국에서 강진이 발생할 경우 1~10년 안에 우리나라에도 지진이 발생했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이 경우 지진 발생 가능성이 가장 큰 지역으로는 추가령·옥천·양산 단층 부근이 지목됐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